logo
“그것이 알고 싶다, 신상정보 유포의 지옥”…피해자 절규→사채 조직 추적의 끝은 어디인가
엔터

“그것이 알고 싶다, 신상정보 유포의 지옥”…피해자 절규→사채 조직 추적의 끝은 어디인가

정유나 기자
입력

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탈출구 없는 굴레에 사로잡힌 채무자들의 깊은 절망 속으로 거침없이 파고들었다. 빚은 어느 날 일상에 스며들었으나, 단 한 번의 선택이 돌이킬 수 없는 태풍이 돼 삶을 뒤흔들었다. 신상정보가 인터넷에 만천하에 드러난 뒤, 이름과 얼굴, 가족까지 낱낱이 고통받았던 사람들은 오늘도 나락의 끝에서 침묵과 눈물을 감춘다. 빚 독촉의 폭력이 한 인간의 존엄과 미래까지 파괴하는 현장은, 차가운 디지털 공간에서 더욱 무겁게 드러났다.

 

제작진은 절박한 피해자의 문자, 닫혀버린 전화 속 숨죽인 외침에서 시작해, 벼랑 끝 베란다에서 마주한 다혜 씨(가명)의 구조 과정 모든 순간을 따라갔다. 그녀에게 빚은 단순한 금전 문제가 아닌, 존재의 전부가 뒤흔들린 밤의 이름이었다. 가족과 지인에게까지 무차별적으로 유포된 차용증과 사과 영상은 죄 없는 피해자를 죄인처럼 내몰았고, 수백 명의 인생을 옥죄기 시작했다.

“신상정보 유포된 빚의 굴레”…‘그것이 알고 싶다’ 범죄 조직 추적→공포와 분노의 실체 드러나다
“신상정보 유포된 빚의 굴레”…‘그것이 알고 싶다’ 범죄 조직 추적→공포와 분노의 실체 드러나다

20만 원의 소액 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뒤 시작된 압박은 온라인 박제, 무차별적인 음해 문자, 끝없는 협박으로 이어졌다. 제작진이 직접 만난 영상 속 인물들은 “생활비 한 번 빌렸을 뿐인데 모든 개인정보가 퍼졌다”며 세상을 피해야 했던 시간들을 증언했다. 대부업자들은 단번에 채무자의 사회적 관계망까지 파고들었고, 신상유포는 삶을 단절시키는 또 다른 폭력이 됐다. 배후에는 주소록 탈취, 대포통장, 익명 계정 등 범죄조직의 교묘한 수법이 숨었다.

 

사채 조직 추적에 5개월을 쏟은 강기영 씨(가명)는, 정의가 아닌 생존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지난날을 전했다. 사라져버린 일상과 끊이지 않는 복수의 그림자, 그의 눈빛엔 뒤엉킨 죄책감과 분노가 남았다. 끝내 포착된 배 씨와 조직의 실체는, 마치 사회가 등 돌린 구원의 손길처럼 차가웠다. 조직은 개인정보를 악용해 채무자는 물론 가족까지 공격하는 등, 구조적 범죄의 매듭을 단단히 죄고 있었다.

 

신상공개와 낙인이 남기는 또 다른 상처, 그리고 존엄의 붕괴는 고통의 연쇄로 남았다.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제작진은 피해자 개개인의 이야기와 범죄의 새로운 구조, 그리고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를 조명하며,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수많은 이들의 현실을 스크린에 담았다. 방송은 신상이라는 이름표를 짊어진 채로 살아야 했던 사람들이 체감했던 두려움과, 포식자 조직의 정체를 끝까지 파헤친다.

 

누군가의 신음 뒤에 누가 존재하는지, 다시 한번 사회가 스스로를 되돌아보게 하는 순간이다. 악순환을 끊고 나선 이들의 용기, 그리고 범죄조직 배 씨 일당의 실체가 드러나는 ‘그것이 알고 싶다’는 7월 26일 토요일 밤 11시 10분에 시청자와 만난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그것이알고싶다#배씨#신상정보유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