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장명령·영상삭제요구 논란에 당내 우려”…최민희, 거취 논란 속 국감 이후 결정 미뤄
‘축의금 수수·퇴장명령·영상삭제 요구’ 등 복수 논란을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당 내외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의 거취 문제로 갈등 국면에 접어들었다. 야권의 사퇴 압박과 함께, 당 지도부는 국정감사 종료 후 사실관계를 검토해 결정하겠다며 언론과 여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30일 당 지도부 관계자는 “지도부가 최 위원장 거취를 논의한 바 없다”며 “논란이 있지만, 실제 지도부 차원의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문금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역시 “원내에서는 사실상 무관심에 가깝다”며 “향후 국감 총평, 평가 과정에서 거취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지도부의 신중한 입장과 달리 국회와 당 안팎에서는 최 위원장의 논란 대응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다. 재선 의원들은 “논란이 사실이라면 국민 정서상 감정선을 벗어날 수 있다”며 “언론에 대한 최 위원장의 태도 역시 적절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문제의 발단은 최근 최 위원장이 국정감사 기간 중 국회에서 딸 결혼식을 열고 피감기관 관계자들로부터 축의금을 받은 점, 논란이 된 유튜브 채널 영상 삭제 요구 논란과 관련해 직접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시정 가능 여부를 따져 물은 사실이 잇따라 드러나면서 불거졌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공식적인 민원 신고 절차를 밟지 않은 점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최 위원장이 이 분야 전문가임을 고려할 때 상식적으로 의문”이라고 언급했다.
최 위원장 측은 이에 대해 “방심위 문의는 단순 절차 확인이었고, 최 위원장에게 별도 보고한 바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문제의 기자에게도 이메일을 통해 정중하게 사실 정정을 요청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직접 원내 관계자에게 해명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야당이 최 위원장 퇴진을 요구하는 배경에 향후 추미애 법사위원장 등 이른바 ‘부동산 3인방’으로 공세를 확장하기 위한 포석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상경 전 국토부 차관 사퇴 이후 비슷한 양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날 최 위원장은 “어떤 경우에도 최선을 다하자”는 메시지를 남기며 입장 고수 의지를 내비쳤다. 해당 게시글에는 추미애 법사위원장 등 2천여 명이 ‘좋아요’를 표시했으며, 김병주 최고위원이 응원 댓글을 달았다.
국감 동안 지속적으로 ‘언론 개혁’ 등을 주장해온 최 위원장에 대해 강성 지지층은 지지 의사를 표하고 있지만, 의원직 사퇴 또는 위원장직 사퇴를 지도부가 강제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도 고민을 키우고 있다.
앞으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국정감사 종료 및 국제 일정(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이후에 최 위원장 논란을 정식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국감 총평에서 최 위원장 거취와 관련한 본격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