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투자, 자본 파괴 우려”…아인혼 경고에 시장 경계심 고조
현지 시각 25일, 미국(USA)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글로벌 금융계가 주목하는 패널 토론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데이비드 아인혼 그린라이트 캐피털 창립자는 인공지능(AI) 인프라 부문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자본 파괴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번 발언은 AI 산업 성장 기대와 달리, 최근 투자 규모가 지나치게 급증하며 단기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현실을 부각시켰다.
아인혼은 구글, 애플, 메타플랫폼, 오픈AI 등 미국(USA) 거대 테크기업들이 주도하는 AI 인프라 투자가 연간 1조 달러에서 5천억 달러에 이르는 데 비해, 그 사업 구조와 수익성에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결과가 극도로 불확실하다”며 “제시되는 숫자들이 너무 극단적이고, 이 투자 사이클에서 상당한 자본 파괴가 발생할 합리적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USA) 금융권에서는 AI 투자 열기가 테크산업부터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전방위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그러나 금리 부담이 높아지는 가운데 기업들의 실질적 수익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자, 시장 내에서는 과열 우려와 비용 회수 한계론이 점차 커지고 있다. 아인혼 역시 “현금 흐름상 뚜렷한 개선 없이 투자가 늘어난다면, 투자금 회수 가능성 자체가 불투명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경고에 대해 블룸버그 통신은 “AI 인프라에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가 쏟아지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금융·경제적 손실 위험이 실제로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뉴욕타임스 또한 “AI 거품과 자본 파괴 경계령”이 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조짐이라고 보도했다.
아인혼은 최근 미국(USA) 경제 여건과도 연계된 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미국(USA)의 일자리 증가세 둔화, 근로시간 감소, 생산성 정체 등 주요 지표가 침체를 시사한다”며 “우리는 경기 침체로 진입하고 있거나 이미 진입했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수개월간 월스트리트 주요 투자자 사이에서도 AI 투자 지연, 경기 후퇴 징후 등을 근거로 보수적 대응 기조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논란이 테크 혁신의 지속 가능성, 금융시장 자금 흐름, 경기 사이클 등 구조적 변수와 맞물려 향후 글로벌 경제에 중대한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투자 열기와 리스크 사이에서 국제 사회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