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달 오조작 제어 기술 혁신”…현대차그룹, 전 차종 안전 신기술 확대→시장 판도 변화
자동차 산업의 안전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전환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가속 페달 오조작으로 인한 급발진 사고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된 가운데, 관련 사고 예방을 위해 혁신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을 전 차종에 도입한다고 22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로, 최근 시장에 선보인 준중형 전기 SUV ‘더 기아 EV5’에는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와 가속 제한 보조 기능이 기본 탑재돼 첨단 안전 기준의 도약을 예고했다.
현대차그룹이 공개한 두 가지 보조 기능은 전자제어 시스템과 첨단 센서의 결합을 통해, 운전자의 비의도적 페달 작동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 기능은 정차 중 차량 전·후방 1.5m 내 장애물을 초음파 센서로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가속 페달 입력값을 분석해 비정상 신호에는 즉각적으로 토크 제한이나 브레이크 제동을 가한다. 동시에 계기판 팝업과 경고음을 통해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며, 잠재적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설계가 돋보인다. 이 시스템은 주차장, 교통 정체 구간 등 일상적인 저속 환경에서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아가, 80km/h 미만의 주행 속도 구간에서 장시간 또는 깊게 가속 페달이 밟힐 때 구동 토크를 즉시 제한하는 ‘가속 제한 보조’ 기능이 더해져, 비정상적 가속 위험까지 체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전방 충돌 위험이 감지될 경우 전방 충돌방지 보조 등 통합 안전 시스템이 동시 작동해 다중 보호 장치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차그룹은 주행 환경별로 가속 제한 제어 유예 시간을 세분화하고, 시각·청각·음성 등 복합 경고 체계를 마련해 운전자 인지 능력까지 폭넓게 강화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현대차그룹의 새로운 안전 기술 도입이 전기차 시장을 넘어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차량으로 빠르게 확장될 것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국내 교통사고 감축과 소비자 안전 인식 고도화에 긍정적 파장을 미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현대차그룹은 향후에도 실시간 위험 감지와 능동 제어 시스템을 지속 강화해, 글로벌 첨단 안전 차량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적 의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