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박정훈 항명수사 지시 안했다”…이종섭 전 장관, 특검 3차 조서서 선 그어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논란이 다시 정국을 뒤흔들고 있다. 9월 26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에 연이어 피의자로 출석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박정훈 대령 항명 수사 지시 여부를 집중적으로 묻는 특검팀과의 치열한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전직 장관과 대통령까지 이미 연루된 의혹에, 여권 고위 인사의 호주대사 임명 과정까지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오전 9시 10분께 특검사무실에 들어선 이종섭 전 장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박정훈 대령 항명 수사를 지시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호주대사 임명 과정 관련 모든 질문에 특검에서 이미 답했다"며 구체적 입장은 아꼈다. 이 전 장관은 이번이 세 번째 피의자 신분 조사로, 지난 23일과 25일에 이어 이틀 연속 조사를 받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특검팀은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회의 이후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의 경북경찰청 사건 기록 회수 등 일련의 과정에서 대통령실의 구체적 지시가 있었는지 파고들고 있다. 이 전 장관은 관련 진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시 ‘이렇게 줄줄이 엮으면 어떡하냐’는 발언을 한 것이 기억난다”고 말했으나, 이런 질책성 발언이 곧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혐의자에서 제외하라는 지시로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특검팀은 또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및 도피 의혹과 관련해, 당시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이었던 이시원 전 비서관을 이날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해 직무·검증 경위를 묻고 있다. 이 전 비서관은 '이종섭 장관 임명에 대통령 지침이 있었나' 등 취재진 질문에 "특검에서 성실히 답변하겠다"고만 밝혔다.
관심이 쏠리는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로비 의혹도 이날 ‘멋쟁해병’ 단체대화방에 참여한 최택용 사업가 출석을 계기로 재점화됐다. 최 씨는 ‘로비 논의가 없었다’는 입장을 이날도 유지했다. 동시에 특검팀은 국회 위증 논란과 검증절차상 문제, 도피성 호주대사 임명 의혹 등 대통령실 인사라인의 책임을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 중이다.
현재 야권은 이번 사안이 단순한 국방 행정의 문제가 아닌 “대통령 직권남용 및 수사외압 개입”의 증거로 보고 공세를 강화하고 있으며, 여권은 “정상적 절차”였음을 강조하며 방어에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조사 방향과 정치권 공방이 내년 총선을 앞둔 정국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회는 이날 순직해병 특검 조사와 관련한 정치적 책임론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이어갔으며, 정치권은 채상병 사건의 진상규명을 둘러싸고 정면 충돌로 치닫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