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스 기술 전량 국산화”…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해외 의존 끊고 군 자주성 강화
국방 첨단 무기체계의 핵심인 스텔스 기술을 두고 과학기술계와 방산업계가 자주권 확보를 위한 또 한 번의 승부에 나섰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5일, 레이더 스텔스 핵심기술을 전 주기에 걸쳐 국내 기술로 자체 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외 도입이 불가능하다는 특성상, 국내 자체 기술력 강화가 절실하던 분야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이번에 확보한 기술은 무기체계의 은닉성과 자주성의 상징인 레이더 스텔스 구현에 필수 요소로 꼽힌다. 구체적으로, 레이돔의 주파수 선택 표면(FSS) 설계 소프트웨어와 첨단 전자파 평가·검증 장비를 모두 국산화했다. 레이돔은 항공기, 미사일 등 주요 무기의 레이더 및 통신 안테나를 감싸는 반구형 구조물을 의미한다. 외부 환경에서 안테나를 보호함과 동시에, 원하는 전자파 신호만 정밀하게 통과시켜야 하기에 설계 및 평가 기술이 대단히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에는 해외 상용 소프트웨어 및 시험 장비 수입 의존도가 절대적이었다. 해외 기술은 국가 전략 기술로 수출이 통제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1건 가격이 1억원을 넘고 연간 유지비만도 2000만원에 달한다. 표준연 관계자는 “국내 도입조차 막힌 분야의 핵심기술을 설계에서 시제품 제작, 성능 검증까지 순수 우리 기술로 완성했다”고 전했다.
이번 성과의 차별점은 인공지능 및 병렬계산 등 첨단 IT 기술을 접목했다는 데 있다. 표준연이 개발한 FSS 설계 소프트웨어는 기존 상용 제품 대비 50배 가까이 빠른 반응 속도를 자랑한다. 전자파 평가·검증 장비도 자체 개발함에 따라 국방형 레이돔 시험 기간이 1개월에서 6일 이내로 단축됐다. 이는 군 요구에 부합하는 실시간 성능 개선과 신속 도입에 유리한 여건이다.
기술이전 방식 역시 주목받는다. 표준연은 이번에 완성된 기술 패키지를 계측 설비 전문 기업인 케이이알에 5억원 규모로 이전했다. 향후 양산 체계 구축 및 민수·우주항공 등 응용산업 확장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홍영표 박사는 “해당 기술은 국방뿐 아니라 모빌리티와 선박, 우주항공 산업에도 파급력이 크다”고 말했다.
정치권과 업계에서는 이번 국산화 성공을 두고 무기체계 주권 강화와 예산 절감 효과는 물론, 방위산업 수출 경쟁력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해당 기술을 군 핵심무기 개발과 전력화 사업에 단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