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분기 영업이익 90.9% 급감”…SK텔레콤, 해킹 사태 손실·보상 비용에 적자 전환

한지성 기자
입력

SK텔레콤의 3분기 실적이 해킹 사고 이후 급격히 악화되며, 대규모 손실과 고객 보상 부담이 국내 통신업계에 파장을 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해킹 사고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실적 전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한다. 당분간 통신시장과 투자자의 신뢰 회복 조치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30일 SK텔레콤 발표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48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9%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9,781억 원으로 12.2% 줄었고, 순손실은 1,667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124억 원)를 290.9% 상회했지만, 해킹과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보상 및 과징금 등 비경상성 비용 부담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 90.9% 급감…해킹 손실·보상 비용 영향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 90.9% 급감…해킹 손실·보상 비용 영향

SK텔레콤은 지난 4월 발생한 대규모 해킹 이후, 8월부터 대규모 고객 보상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약 5,000억 원의 요금 감면과 데이터 추가 제공, 제휴 할인 등 ‘고객 감사 패키지’를 추진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부과한 1,348억 원의 과징금까지 더해지며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해졌다. 이동전화 매출 역시 위약금 면제, 통신요금 50% 감면 등 적극적 보상 정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수익성 악화 속에서도 AI 데이터센터 등 신성장 사업은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3분기 AI 관련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7% 증가했으며, AI 데이터센터 매출이 1,498억 원, AI 전환(AIX) 매출이 557억 원을 각각 달성했다. 판교 센터 인수와 GPU 임차 지원 수주,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울산 데이터센터 협업 등으로 성장 동력을 확대하고 있다.

 

주력 유무선 가입자 이탈도 점진적 회복세다. 3분기 5G 가입자는 1,726만 명으로 2분기 대비 24만 명 늘었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도 순증으로 전환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통신업의 안정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고 평가한다. 통신망 보안 강화, 고객 신뢰 회복, 유·무형 보상 확대 등이 기업 경영의 핵심과제로 부상했다는 진단이다. 김양섭 SK텔레콤 CFO는 “고객 신뢰 회복에 최우선 과제를 두면서 AI 사업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이번 분기 배당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공시했다. 업계는 향후 통신 시장의 안정성과 AI 사업 확장, 투자자 신뢰 회복에 주목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다음 분기 추가 보상 및 투자 계획, 데이터센터 사업 성장 속도에도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sk텔레콤#ai데이터센터#해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