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해킹·산재 건설사 정조준”…국회, 국감 증인채택 ‘대기업 총수 소환’ 최소화
국정감사를 둘러싼 증인 채택을 두고 정치권과 대기업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회가 올해 국정감사에서 KT 해킹사태, 대형 산재 사고 등 현안을 집중적으로 겨냥하면서도, 삼성전자·현대차·SK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은 증인 명단에서 대거 빠졌다. 증인 선정 기준을 둘러싼 정치적 셈법과 여야 신경전이 맞물리는 양상이다.
25일 국회는 각 상임위원회별로 국정감사 실시계획서를 의결하고, KT 김영섭 대표이사 등 해킹 피해 기업 관계자들을 증인으로 선정했다. 롯데카드 해킹 사태에 관련해선 김병주 MBK 회장과 김광일 MBK 대표이사도 소환 대상에 포함됐다. 이와 함께 대규모 산재 사고가 발생한 대우건설,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포스코이앤씨, GS건설, 롯데건설, 금호건설 등 10인 이상 인명 피해가 발생한 건설사 대표들도 국토교통위원회 증인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박대준 쿠팡 대표, 조만호 무신사 대표, 정용진 신세계 회장, 김기호 아성다이소 대표 등 유통플랫폼·소비재 업계 주요 경영진을 대상으로 정산 방식, 수수료 구조, 불공정 행위 여부를 집중 점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용진 회장의 경우,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소비자 정보 보호 실태가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이 외에도 환경노동위원회는 포스코이앤씨, SPC, 현대엔지니어링 등 산재 사태 관련 기업 관계자들을 추가 증인으로 추진 중이며, 교육위원회는 김건희 특검 조사와 관련된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김원철 대표를 증인으로 부르기로 했다. 반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은 올해 증인 명단에서 제외됐다.
정치권에선 여야 간 의견 차이도 감지된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한미 관세 협상 등 대외 경제 여건을 고려해 대기업 총수의 불필요한 국감장 소환은 신중하게 접근한다”는 기류다. 실제 증인 채택 과정에서 투자 위축 우려, 글로벌 행보 차질 등을 이유로 삼아, 대표이사·임원 등 실무진 중심으로 명단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정감사 참고인으로는 온라인 폭로 등으로 협박 피해를 받은 유튜버 쯔양(박정원), 전세사기 피해 헬스장 폐업 트레이너 양치승, 조희대 대법원장·한덕수 전 국무총리 회동설 관련 유튜브 채널 PD 등도 소환된다.
이날 국회는 주요 증인 채택을 두고 경제계와 정치권의 셈법이 맞부딪히는 가운데, 건설·플랫폼·IT분야의 현안에 대한 책임 추궁이 본격화된 모양새다. 국회는 다음 회기에서 추가 증인 채택을 포함한 국정감사 일정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