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관세 1년 뒤 150%까지”…트럼프, 무역 압박 강도 예고
무역 통상 압박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세계 주요국의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무기 삼아 의약품과 반도체 등 핵심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 방침을 거듭 밝혔다. 아울러 한국을 비롯한 EU, 중국을 향해 경제적 압박 수위를 높이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내주쯤 품목별 관세를 더 발표할 것”이라며 반도체·의약품을 우선 언급했다. 특히 그는 “처음엔 의약품에 약간의 관세를 부과하지만, 1년이나 1년 반 뒤에는 150%, 이후엔 250%까지 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밖에 생산기지를 둔 제약기업들에게 자국 이전을 압박하는 조치다.

한국 시장에 대한 인식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은 폐쇄된 국가였으나, 시장이 개방되면서 미국에 엄청난 사업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제 미국 자동차, 트럭, SUV를 마음껏 팔 수 있다”며 무역합의 성과를 부각했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의 안전기준을 받은 차량에 대해 한국 기준도 충족한 것으로 간주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EU와 투자 이슈에 대해서도 강도 높은 발언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약속한 투자가 이행되지 않으면 3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이것은 대출이 아니라 선물이다. 6천억 달러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권리”라고 주장했다. 한국의 대미 투자 3천500억달러 역시 대출성 지원이 아니라고 거듭 반박했다.
신흥국과의 마찰 예고도 이어졌다. 그는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는 점을 비판하며 “향후 24시간 내 인도에 대한 관세를 25%보다 훨씬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에너지 가격 하락이 러시아의 전쟁 지속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논리를 폈다.
미중 정상회담 전망과 관련해선 “시진핑 주석이 회담을 요청했고 우리가 무역협상을 타결한다면 연말 전에 만날 것”이라며 “협상에서 진전이 매우 크다. 좋은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사임한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방준비제도 이사 후임에 대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차기 연준 의장 발표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와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등 4명을 두고 인선을 검토 중이다.
차기 대선 출마와 관련해선 “아마 아닐 것”이라고 답변하면서도, “출마하고 싶다. 내 지지율은 최고치”라며 여운을 남겼다.
정치권은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무역 압박이 글로벌 공급망과 동맹, 나아가 대선 판도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이후 품목별 관세 리스트와 협상 결과, 연준 인사를 조만간 추가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