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이달 내 마무리”…조현, 확장억제·동맹 현대화 협력 강조
한미정상회담 개최 시점을 두고 조현 외교부 장관과 미국 정부가 막판 조율에 돌입했다. 조현 장관은 미국 공식 방문을 마치고 8월 3일 귀국한 자리에서 “한미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날짜는 말할 수 없지만 이달 안에는 마무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 정상 차원의 논의가 양측 간 주요 쟁점인 확장억제 강화와 동맹 현대화라는 의제 위에서 진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조현 장관은 이날 인천국제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나 “확고한 한미 연합 대응태세, 그리고 확장억제에 대한 확인을 다시 했고 앞으로도 그렇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막판 조율 중이라 날짜는 밝히지 못하지만 이달을 넘기진 않을 것”이라며 한미정상회담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동맹 현대화를 둘러싼 국제적 관심에 대해 조 장관은 “무엇보다 우리가 지금 엄중한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국방력을 강화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여러 필요한 일을 추진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동맹 현대화 움직임이 미국의 대중국 견제로 해석된다는 분석에 대해선 “중국과의 관계에 대한 우려가 있는 줄은 안다”면서도 “우리가 취할 필요성과 조치에 대해 중국에 잘 설명해왔다. 큰 어려움으로 대두되지는 않을 것”이라 덧붙였다.
주한미군 역할 변화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는지 묻는 질문에는 “이번 방미에서 깊이 논의하지는 않았다”며, “국제 정세의 도전 요소 등 큰 틀에서 논의했으며, 세부 내용은 실무진에서 더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내 관세 협상 이후 안보 분야에서 추가 요구가 나올 가능성에 대해서는 “한미 양국이 산업 분야뿐 아니라 국방 분야에서도 함께 윈윈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조현 장관의 방미 성과와 한미 정상회담 전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야는 동맹 강화와 외교 자주성 사이 균형을 두고 각기 입장을 내며 치열한 공방도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확장억제와 동맹 현대화가 한미 관계의 핵심 의제”라며 “국내외 정치·안보 환경에 따라 정국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는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와 합의 도출을 위해 실무 차원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향후 북한·중국 등 동북아 안보 상황과 함께 추가 외교적 행보가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