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벽돌공장 인권유린 사과”…신정훈, 외국인 노동자 보호조치 강화 촉구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권유린 사건을 둘러싸고 정치권과 정부가 강하게 맞섰다. 스리랑카 국적 노동자가 벽돌 더미에 묶인 채 지게차로 들어 올려지는 동영상이 확산되면서 사회적 파장이 커졌고,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전남 나주·화순)은 긴급 사과와 재발 방지 촉구에 나섰다.
신정훈 의원은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제 지역구인 나주 벽돌공장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벽돌처럼 묶어 지게차로 들어 올리는 부끄러운 사건이 발생했다”며, “비인간적 인권유린 사태에 피해자에게 깊은 사과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절대 있어서는 안 될 일인 만큼 사건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신 의원은 관계 기관에 철저한 조사와 인권 보호조치 강화를 요청했다. 그는 “관계기관에서 철저한 조사를 통해 다시는 야만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권 보호조치를 강화해 달라”며, “우리 사회가 외국인 노동자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인권유린에 대해 각성하고 거듭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사건에 대해 대통령 이재명 역시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세계적 문화강국이자 민주주의 모범국가에서 벌어진 일이라고는 도저히 믿을 수 없다”며, “소수자, 약자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폭력이자 명백한 인권유린”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힘없고 곤궁한 처지에 있는 이들을 대하는 태도가 사회의 품격을 보여주는 법”이라며, “신분이 불안정하다는 점을 악용한 인권침해와 노동착취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용노동부 등 관계 부처에서 적극 대응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정치권 일각에서는 관리감독 책임을 둘러싼 쟁점과 외국인 노동자 시스템 내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보다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일부 시민사회단체는 “사과와 재발방지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수사 확대와 피해자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번 나주 벽돌공장 인권유린 사건은 외국인 노동자 처우 및 인권 문제를 둘러싼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현안을 재조명하고 있다. 정치권과 정부는 한목소리로 재발 방지 및 제도 개선에 방점을 찍으며, 향후 국회와 관계 부처의 후속 대책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