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피성 출국 의혹은 망상”…이종섭, 출국금지 해제 경위 적극 해명
출국금지 해제와 호주대사 부임을 둘러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됐다. 이 전 장관의 도피성 출국 의혹에 대해 특검팀은 경위를 면밀히 조사 중인 가운데, 이종섭 전 장관 측은 정부가 조직적으로 출국을 돕거나 빼돌리려 했다는 의혹은 “망상”이라고 강도 높게 반박했다.
이종섭 전 장관 측 변호인은 6일 입장문을 통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안내한 절차에 따라 출국금지 해제를 위한 이의 절차를 밟았으며, 법무부 심의를 통해 정당하게 출금 해제 조치를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의신청 과정은 이 전 장관 본인과 변호인이 공수처 안내와 지인의 도움으로 진행한 것"이라며 “지인에게서 제공받은 법무부의 공개된 민원 서식을 사용했다”고 부연했다.

특검은 최근 압수수색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가까운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이 출국금지 해제 양식을 이 전 장관에게 전달한 정황을 포착했다. 이에 대해 이 전 장관 측은 "이노공 전 차관은 지인일 뿐이며, 정부 회의 자리에서 처음 알게 된 후 사적 인간관계가 있었다"면서, “공개된 서식만 전달받았을 뿐 특별한 연관성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국가안보실장, 외교부 관계자 등과의 연락에 대해서도 구체적 경위가 밝혀졌다. 특검은 지난해 3월 6일 장호진 당시 국가안보실장과의 통화 및 ‘급히 상의할 일’이라는 내용을 포함한 문자 메시지 등에 주목하고 있지만, 이 전 장관 측은 "장호진 안보실장은 안보 파트너였으며, 그날 출국금지 소식을 듣고 ‘황당하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전했을 뿐 해제와 관련된 논의는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출국금지 해제는 전적으로 법무부 소관일 뿐 대통령실이나 안보실장과의 논의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외교적 관례 위반 및 전임 대사의 교차 체류 지적에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변호인은 "김완중 전 대사는 정년을 지나 탄력적으로 직을 수행 중이었고, 이 전 장관이 호주에 간 날 김 전 대사는 귀국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수사 회피 목적 해외공관장 임명 의혹을 제기하는 건 국제적 망신”이라며 국격을 거론했다.
한편 이종섭 전 장관은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의 주요 피의자로 지목돼 있었다. 지난해 3월 4일 호주대사에 임명됐지만, 출국금지가 3월 7일 해제되는 즉시 출국해 대사로 부임했다. 그러나 국내 여론이 악화하자 11일 만에 귀국하면서 임명 한 달도 채 안 돼 자진 사임하는 등 의혹은 계속됐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검찰과 특검은 출국금지 해제 및 대외 접촉 시도 전반에 대한 의혹을 놓고 압수수색과 관련자 조사를 이어가며 경위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 정치권은 이종섭 전 장관의 출국 정당성 및 정부 조직적 관여 여부를 놓고 또다시 정면 대립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