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트럼프, 한국 핵추진잠수함 건조 승인”…이재명 대통령실 “한미 군사동맹 심화 신호”

박진우 기자
입력

한국과 미국이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두고 외교·안보 분야에서 극적 합의에 이르렀다. 2025년 10월 30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프레스센터에서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 핵추진잠수함 승인’ 결정에 환영 입장을 전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요청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호응하면서, 양국 군사동맹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남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환영하는 입장”이라며 “이번 회담에서 미국은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이 대한민국 방어에 있어 우리 군의 주도적 역할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며, 한미동맹의 안보 심층화를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동맹 차원의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재차 요청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미 군사동맹은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고 밝히며, 승인 의사를 공개했다.

 

정치권에서는 즉각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여권은 “한국 안보의 독자성과 동맹 신뢰 강화가 동시에 실현됐다”며 긍정 평가에 무게를 두고 있다. 야권 일각에서는 “한미 협력 과정의 기술이전, 예산, 전력운영 투명성 등이 충분히 논의돼야 한다”고 견제구를 던졌다. 외교·안보 전문가 그룹에서는 “한국군의 전략적 역량 확대와 국제 군사질서에서의 역할 재정립이라는 의미가 크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일각의 오해가 있었던 지난 정상회담 상황에 대해서도 설명이 나왔다. 김남준 대변인은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충분히 설명하지 못해 오해가 있었다’고 언급한 것은, 워싱턴 정상회담 때 논의 시간이 부족했다는 취지”라며, 정책적 이견이 불거진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앞으로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토대로 해당 사안을 구체화할 움직임이다. 대통령실은 한미 동맹의 공고함과 한국군의 주도적 안보 전략이 앞으로도 주요 외교·국방 의제로 부각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트럼프#핵추진잠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