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피로 누적에 마른 비만 경고”…크리에이터 헤이지니, 건강 이상 신호에 주목

김서준 기자
입력

크리에이터 헤이지니가 건강 이상으로 병원을 찾으며, 콘텐츠 창작 활동과 육아를 병행하는 워킹맘·워킹대디들의 피로 누적과 ‘마른 비만’ 건강 이슈가 IT·바이오 산업 및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주목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유명 키즈 크리에이터 헤이지니는 최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면역력 저하 및 피로 누적으로 링거 치료를 받는 일상을 공개했다. 업계는 이번 영상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와 웨어러블 기기 수요 확대의 신호로 해석한다.

 

영상에 따르면, 헤이지니는 컨디션 악화로 병원에서 링거를 맞을 만큼 건강이 저하된 모습을 게시했다. 창백한 안색과 무기력한 상태는 일정 관리와 체력 소진이 밀착된 1인 크리에이터 산업의 현실을 드러냈다. 특히 ‘면역력 저하’, ‘마른 비만’ 문제가 반복적으로 언급돼,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및 바이오마커 데이터 기반 만성질환 예측 서비스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마른 비만은 체중은 정상이지만 체지방률이 여성 30% 이상 등 위험수위로 올라가는 상태다. 근육량 감소와 내장 지방 축적이 만성 염증·대사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체성분 분석·맞춤 운동 처방 등 IT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가 실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스트레스와 피로 누적이 면역력 저하로 이어지는 사례는 점차 흔해지고 있다”며 “웨어러블 기기로 수면·활동량·체성분을 모니터링하고, AI 기반 건강 상담을 더하는 산업적 필요가 높아질 것”이라고 본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육아·업무 병행 세대를 겨냥한 디지털 헬스 서비스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 일본, 유럽에서는 만성 피로와 마른 비만 관리, 면역력 개선 등을 겨냥한 스마트기기와 개인 맞춤형 운동 관리 솔루션이 출현했다. 정확한 체성분 분석과 꾸준한 피트니스가 주목받으면서, 크리에이터·직장인·육아 세대 등 다양한 집단이 주요 타깃층으로 부상 중이다.

 

국내 의료기관도 임상 데이터 기반으로 인공지능 건강관리, 개인 맞춤 영양 코칭 등을 제공하며, 바이오 기술과 IT 서비스가 융합되는 건강 산업 구조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마른 비만, 피로 누적 등 신체 변화가 디지털 진단과 예측 서비스를 통한 사전 관리를 촉진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산업계는 이번 사례를 계기로, 지속가능한 창작 활동과 건강관리의 조화, IT·바이오 융합 기술의 사회적 파급력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결국 기술과 활용, 사용자 맞춤 서비스가 디지털 헬스 생태계 성장의 관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헤이지니#마른비만#면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