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진압에 인력 총동원”…김민석 총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사고 대응 지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리튬배터리 화재 발생을 계기로 김민석 국무총리와 정부 관계 부처가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정부 서비스와 민원 시스템이 대거 멈춘 가운데, 김 총리가 인력과 장비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할 것을 지시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26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내 무정전 전원 장치(UPS)실에서 발생한 리튬배터리 화재로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70개에 달하는 정부 서비스가 마비됐다. 사고 이후 김민석 국무총리는 화재 진압과 부상자 안전 확보, 장애 서비스 신속 복구를 골자로 한 긴급 대응 방침을 각 부처에 전달했다.

김 총리는 총리실 공식 입장을 통해 “가용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해 화재 진압에 나서달라”고 강조했다. 또 “상황전파시스템, 모바일신분증 등 국가정보시스템 장애를 신속히 복구하는 데 가용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만전을 기해 달라”며 신속 대응을 주문했다. 이어 “현장 활동 중인 화재 진압 대원 등 소방 공무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현장 통제와 안전 조치를 철저히 하라”고 각별한 주의를 지시했다.
정부는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전 중앙행정기관을 상대로 국가정보 내외부 시스템 현황 점검을 동시에 진행 중이다. 김 총리는 “정부 서비스 접속 장애 관련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해, 주요 민원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조치하라”고 당부했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8시 15분경 화재 발생 직후 70대의 소방차와 인력 등을 동원해 진압 작전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 화재 특성상 진압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내부 인원 1명이 얼굴과 팔에 화상을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치권은 정부의 이번 신속 대응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부 야당에서는 국가 데이터 및 재난 대비 시스템의 안전성 강화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전문가들 또한 “디지털 정부 서비스의 물리적·사이버 안전망 동시강화가 요구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번 화재가 민원서비스와 전자정부 시스템에 미친 충격이 상당한 만큼, 정부의 신속한 복구 조치와 이후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중요한 분기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는 이후 서비스 정상화와 피해 복구 현황을 실시간 발표하는 한편, 중앙행정기관 전반의 재난 대응 매뉴얼 재점검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