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협력 구체화”…한미, 전략기술 이니셔티브 논의 속도
인공지능(AI) 중심의 첨단기술 협력이 한미 전략 협력의 중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5일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디지털·AI 장관회의를 계기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마이클 크라치오스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OSTP)은 양자 면담을 갖고, 양국의 AI 기술·인프라 협력과 전략기술 전반 확대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의논했다. 업계는 이번 논의를 양국 간 첨단기술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양측은 각각의 AI 정책과 추진 현황을 공유했다. 미국은 ‘AI 액션 플랜’을, 한국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현황을 소개했으며, 신뢰 기반의 데이터 활용, 기술 인프라, AI 검증 및 알고리즘 신뢰성 제고 방안 등이 주요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특히 이번 논의에는 AI뿐 아니라 양자과학기술, 첨단바이오, 차세대 원자력 등 전략산업 전반의 협력 필요성까지 확장됐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AI 플랫폼 인프라 구축, 대규모 데이터센터의 친환경화, 활용 데이터의 국제적 상호운용성 등에서 구체적 협력 의제가 제시됐다. 미국과 한국 모두 첨단 반도체-클라우드-컴퓨팅 융합을 기반으로, AI 학습모델 상용화와 전략기술 내재화에 속도를 낼 계획임을 밝혔다. 업계에서는 양국 간 인프라 및 데이터 교류 협력이 차별화된 AI 경쟁력 확보의 토대가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한미 양국의 전략기술 협력 구상은 분야별 산업으로 확장된다. 병원·바이오 기업 대상 AI 응용, 양자 컴퓨팅을 활용한 신약개발 시뮬레이션, 차세대 원자력 안전관리 등 교차 플랫폼 활용 시나리오도 논의됐다. 이러한 첨단기술의 상호 활용은 글로벌 시장에서 한미 동맹의 기술적 시너지를 평가받는 기준이 될 전망이다.
글로벌 비교 차원에서, 미국은 이미 유럽·일본과의 AI·양자 협력 루트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도 ‘K-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AI 데이터센터 투자에 공격적으로 나서, 전략기술 내재화에 역량을 집중한다. 이를 통해 미국 주도의 첨단산업 생태계와 한국의 응용·공급 능력이 상호 보완될 가능성에 업계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보안과 과학기술 윤리 이슈도 핵심 논점이었다. 양측은 신뢰 기반의 연구 교류와 데이터 보호, 기술 인재 교류의 안전장치, 기관별 사례공유 등 ‘연구보안 프레임워크’ 마련에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정부 정책 차원에서는 AI·바이오·양자 분야에서의 제도적 진입장벽을 공동 해소하고, 과학기술 공동위원회 조기 개최를 통해 실질적 과제 논의에 착수할 계획이 제시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만남을 “한미 전략기술 이니셔티브 구상 구체화의 마중물”로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기술 협력의 제도화와 실제 산업 적용 간 시차, 연구보안·데이터 주권 등 신규 이슈에 대한 후속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협력 구상이 실제 시장 혁신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