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안규백 첫 문민 투톱 임명”…이재명 대통령, 인사청문회 보고서 없이 내각 완성
국방·통일 라인을 둘러싼 논란과 대통령실의 고집이 치열하게 맞부딪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정동영 통일부 장관, 안규백 국방부 장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임명을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없이 25일 재가하며, 여야 갈등이 한층 뜨거워졌다. 대통령의 임명 강행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사례다. 정책 방향성과 인사 운영 원칙이 본격 궤도에 올랐다는 평가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공식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정동영, 안규백, 권오을 장관 임명안을 재가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서 22일 국회에 청문 경과보고서 24일까지 송부를 요청했으나, 우려와 비판으로 보고서 채택은 불발됐다. 인사청문회법상 대통령은 이 경우 직접 임명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로써 1기 내각 18명 중 14명 인선이 마무리됐고, 교육부·여성가족부 등 두 부처는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5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0725/1753434537731_614949889.jpeg)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1961년 이후 60년 만에 장성 출신이 아닌 문민 출신으로 발탁됐다. 그는 “비상계엄 도구였던 과거 군 통치를 끊고 국민을 위한 군대로 거듭나겠다”고 취임 각오를 피력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또한 경기 파주 판문점에서 “남북대화 재개와 신뢰 회복을 위해, 단절된 연락채널 복원이 급선무”라며 변화를 예고했다. 두 인사 모두 국가 안보 환경의 대전환 속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 인물로 거론된다.
야권은 각종 의혹을 들어 강하게 반발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지명 철회 공문을 대통령실에 보내겠다”며 유감의 뜻을 밝혔다. 국회 각 상임위에서도 농지법 위반, 이해충돌, 병역 문제 등이 도마에 올랐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내각 공백 최소화를 위해 신속 임명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정치권은 향후 문민 내각이 한반도 안보, 남북관계, 국가보훈 정책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남은 부처 청문회 일정과 더불어 후임자 인선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이날 국회는 청문보고서 채택 거부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고, 정치권은 문민 국방·통일라인 출범을 둘러싸고 정면 충돌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