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형 LLM 데이터 책임진다”…플리토, 국책 AI 파트너 선정
IT/바이오

“한국형 LLM 데이터 책임진다”…플리토, 국책 AI 파트너 선정

신채원 기자
입력

플리토가 국내 최초의 국가 주도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사업에 데이터 파트너로 참여하며, 한국형 초거대언어모델(LLM) 개발 생태계 확장에 핵심 역할을 맡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업스테이지가 대표 컨소시엄을 이끌며, 향후 5년간 100조원 규모의 AI 기술 자립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추진된다. 업계는 이 프로젝트를 AI 산업 주권과 기술 패권 경쟁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이번 사업에서 플리토는 AI 모델의 성능을 좌우하는 고품질 학습·평가 데이터의 구축과 검증을 총괄한다. 특히 플리토는 다국어 언어 데이터 수집·가공 및 품질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IT 기업에 실시간 동시통역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제공한 바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가능한 AI 데이터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컨소시엄에는 업스테이지의 자체 LLM '솔라(SOLAR)'를 비롯해 온디바이스 경량화 AI에 특화된 노타 AI, 대용량 초거대 모델 설계기술의 래블업, 그리고 이론 연구와 평가체계, 인재 양성 측면에서 카이스트·서강대학교 등 국내 최고 연구기관이 힘을 모았다.

플리토는 최신 CoT(Chain of Thought) 방식의 데이터 개발, RLHF(강화학습기반 인공지능 피드백) 기반 학습 데이터 구축, DQ 인증 등 차별화된 AI 언어 솔루션 역량을 통해 산업 특화·글로벌화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신경망처리장치(NPU)에도 적용 가능한 통·번역 기술을 고도화해 SaaS형 글로벌 서비스로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특히 여러 산업군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다국어 AI 데이터 제공 역량은 기존 글로벌 IT 플랫폼과의 차별점으로 꼽힌다.

 

글로벌 메가테크 기업들은 이미 자체 LLM과 데이터 중심의 AI 연구개발 경쟁에 돌입한 상태다. 미국은 오픈AI·메타 등, 유럽은 EU AI Act 및 현지 데이터 규제에 맞춘 독자 모델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에 비해 국내업계는 국가 프로젝트를 통한 데이터 주권 확보와 산업 맞춤형 LLM 구축에 전략적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데이터·AI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환경도 중요 과제로 남았다. 데이터 품질 표준인증(DQ), 개인정보 보호, AI 신뢰성 평가 제도는 사업 전개에서 필수 허들로 작용한다. 정부 역시 데이터 기반 AI 모델 개발 및 표준화, 안전성 확보 정책을 병행 중이다.

 

플리토 관계자는 “최초의 대규모 국가 AI 전략사업 데이터 파트너 선정으로 기술 신뢰도와 글로벌 시장 확장성을 인정받았다”며, “차세대 AI 생태계에서 인프라스트럭처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국가 주도 AI LLM 프로젝트가 실제 시장 안착과 글로벌 확장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플리토#업스테이지#국가aipj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