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복구 87.4%”…정부, 청사관리시스템 정상화 속도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 전산망 가운데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4년 1월 30일 오후 6시 기준, 전체 709개 정부 전산망 중 620개 시스템이 정상화됐으며 복구율은 87.4%에 달한다. 복구에는 질병관리청 희귀질환 통합정보 관리시스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데이터 개방 시스템과 정부청사시설 관리시스템, 국가보훈부 유공자증,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제안 통합 플랫폼 등이 추가 됐다.
이번 복구는 등급별로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1등급(가장 중요) 시스템의 경우 40개 중 39개가 재가동돼 97.5% 복구를 보이는 한편, 2등급 59개(86.8%), 3등급 229개(87.7%), 4등급 293개(86.2%)가 각각 정상 운영 중이다. 각 등급은 시스템의 중요도와 온라인 업무 영향도를 고려해 구분돼, 행정·공공데이터 접근성과 업무 연속성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취지다.

정부 전산망은 국가 행정 업무와 병원·복지·공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및 시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장애가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공공 서비스 지연, 업무 처리 장애, 정보 접근성 저하 등 사회적 여파가 불가피하다. 이번 대규모 시스템 복구 작업은 공공기관 IT 인프라 관리 및 복원, 재난 대응 준비 수준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행정안전부는 신속 복구를 위해 자동화 복구 솔루션, 단계별 영향을 최소화하는 병렬 복구 방식을 도입했다. 특히 이번 화재로 피해 입은 일부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는 예비 백업과 이중화 설계로 복원 속도를 크게 높였다. 기존 수동 대비 복구 시간은 크게 단축됐다.
IT 업계에서는 최근 글로벌 공급망이나 주요 국가별 데이터센터 화재, 사이버 공격 등 대형 장애에 대비한 체계적인 백업 시스템과 재해 복구(DR, Disaster Recovery) 역량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미국·일본 등은 중요 공공 IT 인프라에는 3중 백업, 원격지 이중화, AI 기반 이상 징후 탐지 등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추세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행정안전부 등 관계 당국은 재난 복구 과정에서 국가 사이버안보, 공공데이터 보호, 서비스 지속성 등 정책적 과제를 병행 점검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백업 주기, 주요 업무의 클라우드 전환 타당성, 복구 표준 절차 마련 등 추가 보완책도 검토 중이다.
정보보호 전문가들은 “공공 전산망 복구 경험 축적이 행정·의료·금융 등 산업 전반의 IT 재해 대응 역량을 끌어올릴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산업계는 이번 복구가 실제 서비스와 시스템 정상 가동까지 얼마의 시간이 더 소요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안전, 운영 체계 간 균형 잡힌 투자가 재난에 강한 산업 생태계의 핵심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