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스마트폰이 치질 위험 높인다”…의학계, 화장실 사용 습관 경고 IT·바이오 경각심

강예은 기자
입력

스마트폰 등 IT기기의 일상화가 화장실 이용 습관에도 새로운 건강 리스크를 낳고 있다. 최근 하버드 의대 출신의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발표한 경고에 따르면,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장시간 머무는 습관이 치질 발병 위험을 최대 46%까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는 이번 연구 결과를 단순한 생활 습관 문제를 넘어 IT기기 사용과 바이오 건강의 접점에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분기점으로 해석한다.

 

문제의 경고는 사우라브 세티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최근 SNS 영상을 통해 제기했다. 그는 "배변 중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장시간 앉아 있으면 직장 정맥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져 치질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며 배변 시간은 5분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 연구팀이 성인 1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비사용자 대비 치질 유병률이 최대 46% 더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상당수는 배변 시간에 뉴스 기사, SNS, 게임, 영상 등 콘텐츠를 소비했다.

스마트폰 사용이 배변 시간을 늘리고, 결과적으로 직장 부위 혈류 정체 및 정맥 압력 상승을 촉진한다는 게 연구진 판단이다. 트리샤 파스리차 박사는 "스마트폰은 화장실 밖에 두고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세티 박사 역시 "배변 시 힘을 과하게 주는 습관은 치질 외에 항문 열상, 심하면 직장 탈출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치질은 항문 주변 정맥 팽창과 출혈, 통증, 배변 곤란 등으로 이어지는 생활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몇몇은 자연 치유될 수 있으나, 증상이 일주일 이상 지속 시 의료기관 진료가 필요하다. 최신 바이오헬스 진단기술에 따르면, 치질 발생은 생활 습관 변화와 밀접히 연관돼 있어, IT기기의 과의존이 질병 패턴까지 변화시키는 양상이다.

 

기존에는 배변 자세, 식이 등 생활습관 교정이 주된 예방책이었지만, 스마트폰 등 IT기기와의 상호작용이 새로운 건강 변수로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 일부에서는 디지털헬스 관점에서 개인 맞춤형 생활습관 컨설팅 시스템이 도입되는 추세다. 국내 의료계 역시 IT기반 건강관리 앱 내 ‘배변 습관 트래커’ 등 기능 도입을 확대하는 분위기다.

 

치질 예방을 위해 전문가들은 첫째, 화장실 내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할 것, 둘째, 배변 시 힘주기를 피할 것, 셋째, 섬유질 섭취와 충분한 수분 보충, 넷째, 즉각적인 배변 신호 반응 및 올바른 생활 패턴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산업계는 이번 발표가 실제 시장에서 디지털헬스와 생활습관 모니터링 기술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하버드의대#스마트폰#치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