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정부 이후 첫 복귀”…구자현, 서울고검장 임명에 검찰개혁 새 동력
정치적 충돌 지점이 검찰 인사에서 다시 표면화됐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후 처음 실시된 검찰 고위 간부 인사에서 구자현 신임 서울고등검찰청장이 임명되며 조직 재정비와 검찰개혁 논의가 불붙고 있다. 법무부는 7월 25일 오후 대검 검사급 33명에 대한 인사 방침을 발표했다.
이날 가장 큰 관심을 모은 것은 평소 ‘기획통’으로 평가받던 구자현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이 전국 최대 검찰청인 서울고등검찰청장에 발탁된 대목이다. 구자현은 문재인 정부 시절 법무부 대변인, 검찰국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며 조직 내 신망을 쌓았다. 2020년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간 검찰개혁 논쟁이 격화되던 당시, 법무부 입장에서 논리적 정책 설계에 적극 관여한 인물로 전해진다.

윤석열 정부 기간에는 대전고등검찰청 차장, 광주고검 차장, 법무연수원 연구위원 등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비켜난 자리에 머물렀으나, 이번 인사를 통해 다시 핵심 요직으로 복귀했다. 법무부는 이번 인사에서 서울고검장 구자현 임명과 함께 검사장, 주요 수사부서장 등도 대폭 교체하면서 조직 내 세대 교체에도 힘을 실었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리더십과 자질, 내외부 신망 등을 기준으로 인재를 적극 발탁했다”며 “균형 있고 능력 중심의 인사”였다고 설명했다. 법무부 관계자 역시 “조직을 쇄신해 국민을 위한 검찰개혁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여성 검사들의 보직 강화를 통해 다양성 확보에도 방점을 뒀다.
정치권에서는 구자현 신임 서울고검장의 임명을 두고 검찰개혁 흐름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윤석열 정부 시절 중용됐던 일부 간부들이 한직으로 이동한 점에 대해 법조계 일부에서는 조직 내 균형 조절 시도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보다 앞서 검찰 고위 인사 단행은 정권교체 과정에서 검찰 내 갈등이 이어져 온 배경과 맞물리며, 향후 정치권·법무부 간 긴장감이 증폭될 가능성도 남겨두고 있다. 법무부는 가까운 시일 내 추가로 중간 간부 인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