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25%p 인하”…미국 연준, 인플레이션 경계 속 통화 완화 전환
현지시각 기준 24일, 미국(USA) 워싱턴 D.C.에서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연준)가 기준금리를 9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하하는 결정을 내렸다. 기존 4.25∼4.50%였던 기준금리는 4.00∼4.25%로 조정됐으며, 이로써 연준은 5회 연속 동결 기조를 마치고 통화 정책 전환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고용시장과 인플레이션 위험이라는 두 경제 지표 간 미세한 균형 변화가 배경으로 지목된다.
제롬 파월 의장은 “고용의 하방 위험이 증가하면서 연준의 정책 균형점이 바뀌었다”며 “이제는 중립적 정책 입장으로 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미국의 고용시장은 실업률이 4.3%로 낮고 이직률도 안정적이어서, 연준이 완화적 통화 기조로 선회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미국 시카고 연방준비은행(Chicago Fed) 오스틴 굴스비 총재는 추가 금리 인하 속도에 신중함을 주문했다. 그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전제 아래 너무 많은 금리 인하가 단행되는 것에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으며, 중서부 지역 기업들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통제 밖에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굴스비 총재는 “관세 인상 등 단기적 외부 요인이 있겠지만, 인플레이션은 4년 반 넘게 2% 목표를 넘어서고 있다”고 경계했다.
실시간 노동 통계 역시 미국 경제가 급격한 둔화에 접어들고 있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 중앙은행 및 국제 금융시장은 연준의 결정이 추가 인하 신호로 직결되기보다는 향후 고용 및 물가 지표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들은 “연준이 공포 속 금리 동결 기조를 마치고 정책 선회를 시도했다”고 보도했다. 동시에 “추가 인하 여부와 인플레이션 통제 사이에서 신중한 줄다리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시장과 전문가들은 앞으로 소비자물가지수와 고용지표의 동향에 따라 연준의 추가 인하 여부, 나아가 글로벌 금융정책과 경제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인하 결정의 실질적 파급력과 연준의 향후 정책 방향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