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AI, 맹수도 더피도 될 수 있다”…이재명 대통령, 유엔 안보리서 국제 공조 촉구

강예은 기자
입력

AI 시대를 둘러싼 국제적 규범 경쟁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토의를 주재하며 글로벌 협력을 강조했다. 각국 지도자들의 첨예한 시각차가 노출된 이번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AI 관련 국제공조의 필요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진행된 안보리 공개토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정상으로는 처음 의장석에 올라 의사봉을 두드리며 회의를 이끌었다. 이날 토의 주제는 ‘AI와 국제평화·안보’로,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에 각국 정상들이 집중하는 분위기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며 “새끼 호랑이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 우리가 AI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미래는 완전히 달라진다”고 밝혔다. 또 “변화에 대비하지 못하면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넘어 ‘실리콘 장막’으로 재현돼 세계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과거 ‘러다이트 운동’처럼 기술 발전을 거스를 수 없으며, 국익 경쟁과 국제 협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AI 시대의 명암을 기회로 만들려면 국제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 원칙을 세워야 한다”며 “전문가 경고처럼 인류 멸망의 위기도 결국 공통 규범 부재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을 촉구한 이재명 대통령은 “각국 정부, 학계, 산업계, 시민사회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 혁신이 가능하다”며, 특히 안보리의 역할을 부각시켰다. 이 대통령은 “AI를 잘 활용하면 WMD(대량살상무기) 확산 감시 등 분쟁 예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통제 없을 땐 허위정보와 테러, 사이버 공격 등 안보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AI발(發) 군비경쟁 현실화로 안보 불안도 심화될 수 있다”며, 안보 환경 분석과 공동 대응 전략 마련을 제안했다.

 

한국 정상의 첫 안보리 의장국 토의 주재라는 점에서 정치권의 관심도 컸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글로벌 AI 규범 논의에서 한국의 역할이 한층 확대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반면 일부 시민사회단체는 “AI 국제 공조 못지않게 국내 규제와 인권 보호 정책도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의 역할에 대해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모두의 미래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 주도국이 되겠다”고 강조하면서,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 채택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술 발전의 혜택이 누구에게나 돌아가는 ‘AI 기본사회’, ‘모두의 AI’ 실현이 새 시대의 표준이 돼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발언 말미에 “AI가 촉발한 문명사적 대전환 앞에서 보편 가치를 지켜야 할 변곡점에 있다”며 “AI 변화가 인류 도약의 발판이 되도록 시대적 사명을 다하자”고 힘줘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은 AI 발전과 통제, 국제 협력 필요성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으며, 한국 정부는 향후 인공지능 국제규범 구축과 안보리 내 협력 방안 논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유엔안보리#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