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폐질환 동시 진단”…코어라인소프트, MICCAI 출전으로 경쟁력 입증
의료 인공지능(AI) 기반 진단 기술이 의료영상 분석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코어라인소프트가 국제의료영상컴퓨팅 및 컴퓨터 보조수술 학회(MICCAI 2025)에서 선보이는 ‘에이뷰(AVIEW) LCS Plus’는 폐암, 폐기종, 관상동맥질환 등 주요 폐 질환을 한 번의 저선량 흉부 CT로 동시 진단하는 AI 솔루션이다. 특히 대전에서 처음 개최되는 이번 MICCAI는 전 세계 바이오메디컬 분야 연구자, 기술기업, 병원 등 의료영상 산업의 글로벌 경쟁이 집약되는 행사로, 업계는 이번 출품을 ‘AI 기반 다중 진단 경쟁’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에이뷰’ 등 의료 AI 솔루션과 함께, 연구자·임상의 활용에 최적화된 데이터 통합 플랫폼 ‘에이뷰 모델러/리서치’ 기술력을 시연할 예정이다. 해당 플랫폼은 의료영상 표준 파일(DICOM)뿐 아니라 문서, PDF 등 다양한 포맷을 통합 관리하고, 목적·질병별로 데이터를 자동 분류·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기존 단순 뷰어가 제공하지 못했던 연구·임상 환경 맞춤 관리와 효율적 분석을 동시에 구현해 연구자 중심의 차세대 의료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기존 흉부질환 AI 판독 시스템보다 여러 위험 요소를 한 번에 포착하고 환자별 맞춤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에서 국내외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가 평가된다. 미국, 유럽에서는 이미 의료영상 AI를 활용한 정밀 진단 사례가 확대 중이다. 글로벌 첨단 AI 기업들과의 기능·정확도 경쟁에서 국산 솔루션이 연구·임상환경까지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의료영상 AI 솔루션의 임상 적용 확대에는 데이터 표준화, 개인정보보호, 식약처 등 인증·규제 장벽도 상존한다. 국내에서는 관련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인증 및 신의료기술평가 제도가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다. 향후 글로벌 학회에서 검증받은 성능 데이터가 해외 인증, 실제 병원 실사용으로 이어질 것인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흉부 영상 분석의 실전 배치는 질병 조기 진단, 맞춤 치료, 연구 생산성 혁신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연구·임상·산업 현장이 긴밀히 협력해 기술 상용화 전환을 이끌어갈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세계 의료영상 시장에 실질적으로 자리 잡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