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익 5조1,217억 역대 최대”…KB금융, 여신 성장·이자이익 상승에 호실적
KB금융지주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이 5조1,217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6% 증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여신 성장과 저원가성 예금 증가에 따라 금리 하락에도 불구, 이자이익이 늘어난 결과다. 금융권에서는 금리 하락 기조 속에서도 이자 중심의 이익구조가 이어지면서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의 성장세가 지속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30일 KB금융지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기준)은 1조6,86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조6,197억 원) 대비 4.1% 증가한 수치다. 다만 직전 분기(1조7,384억 원)에 비하면 3.0% 감소했다. 그룹 전체 및 KB국민은행의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각각 1.96%, 1.74%로 전분기 대비 KB국민은행이 0.01%포인트 개선됐고, 전년 동기에 비해서도 각각 0.01%포인트, 0.03%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순이자이익은 3조3,362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반면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1조157억 원)은 1년 전(1조3,263억 원)보다 23.4% 감소했다. 회사 측은 “환율 상승 영향으로 유가증권·파생상품·외화환산 평가이익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3조7,390억 원) 기준으로는 주식 거래대금·방카슈랑스 수수료 증가 덕분에 감소폭이 1.1%에 그쳤다.
자본적정성 지표도 우수했다. 9월 말 기준 보통주자본(CET1) 비율은 13.83%,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6.28%로 집계, 안정적인 자본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계열사별로는 KB국민은행이 3분기 1조1,769억 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전년보다 5.8% 올랐다. KB손해보험(2,088억 원), KB캐피탈(704억 원) 순이익도 각각 23.7%, 20.3%씩 증가했다. 반면, KB증권(1,578억 원), KB카드(993억 원), KB라이프생명(657억 원)은 전년 대비 7.6~13.6%대 감소를 기록했다.
KB금융지주는 이날 이사회에서 주당 930원(총 3,357억 원)의 3분기 현금배당을 결의했다. 지난해 같은 분기(795원)보다 135원 늘어난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KB금융이 여신 성장과 자산 건전성 개선이라는 ‘양호한 체력’을 입증했다고 평가하지만, 환율이나 금리 등 대외 변수에 따라 실적 흐름이 달라질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비이자이익 방어력이 향후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정책 방향은 금리, 환율 등 핵심 변수와 금융 시장 안정 여부에 좌우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