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농축산업 이익 지켜”…김민석 총리, 국무회의서 선진국 도약 강조
정치적 쟁점인 한미 관세 협상을 두고 김민석 국무총리가 국익 수호를 내세웠다. 김 총리는 2025년 8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농축산업 보호와 선진국 도약 과제를 강조했다. 이날 국무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의 여름휴가로 인해 김 총리가 처음 주재한 자리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김민석 총리는 최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해 "우리 농축산업의 중요한 이익을 지켜냈다"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이 협상 타결 직후 "국력을 키워야 한다"고 언급했던 점을 상기시키며 "내란을 극복하고 세계를 주도하는 문화국가를 지향하는 저희가 당당하게 국민을 지키는 나라로 가기 위해 여기 계신 모든 분이 무섭게 뛰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절박하게 느끼는 시간이 아닌가 싶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이 제조업 내 안전사고, 즉 '산재'를 국가적 의제로 삼은 점에 대해 "산재 문제는 작은 문제가 아니다.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큰 산"이라고 강조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구조적 인식 변화를 촉구했다.
기후위기와 최근 이어진 호우에 대한 국가 대응도 언급됐다. 김 총리는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피해 지역에 대한 긴급조치를 신속히 시행해 달라"고 지시하는 한편, "기후변화 때문에 그에 걸맞은 인프라를 대비하는 문제도 논의하지만, 우선 당장 급한 것은 대피"라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부처에서 약간의 이상 조짐이 있다면 주민 대피를 적극적으로 챙겨야 한다"고 언급해 실무적 대응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국무회의에는 김민석 총리의 취임 후 첫 회의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부각됐다. 각 부처 장관 등 주요 참석자들은 사회적 안전망과 재난 대응 문제에 해법을 모색했다.
정치권에서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 후 농축산업에 대한 실질적 보전 대책과 산업계 충격 완화 방안이 이어질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산재 문제와 재난 대응에 대한 김 총리의 ‘국민 안전 최우선’ 메시지가 향후 정책 추진 동력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국무회의 이후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 인프라 확충, 산재 예방체계 정비, 농축산업 보호 등 대책 마련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