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공장 등 출입 허용 논란”…안철수, 대통령실 유튜브 매체 등록 맹비판
정치

“뉴스공장 등 출입 허용 논란”…안철수, 대통령실 유튜브 매체 등록 맹비판

오승현 기자
입력

취재 현장 접근성을 두고 여의도 정치권과 대통령실이 충돌했다. 대통령실이 유튜브 기반 매체 ‘뉴스공장’ 등 3곳에 출입기자 등록을 허용한 것을 두고 25일 여야 정치권과 언론계에서 쟁점이 격화되고 있다. 대통령실은 “객관적 취재역량을 기준으로 삼았다”고 해명했으나,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은 “비판 기자에 좌표를 찍어 조리돌림이 우려된다”며 강력한 우려를 표명했다.

 

전날 대통령실은 공식적으로 ‘뉴스공장’, ‘고발뉴스’, ‘취재편의점’ 등 유튜브 매체 소속 기자들의 출입 등록을 진행하겠다고 기자단에 공지했다. 이에 대해 일부 언론은 해당 매체들이 주로 여권 성향 시청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출연진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친화적인 방송을 이어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자나 깨나 이 대통령을 찬양하던 친명 나팔수들이 대통령실 기자실에서 활개를 치게 됐다”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출입 이유는 분명하다. 비판적 질문을 하는 기자에 좌표를 찍고, 질문 영상을 자신들 채널에서 조리돌림하며, 대통령실 대변인에게는 정부 홍보 발언을 서비스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정치 성향에 따라 허용했다면 신의 한수, 고성국TV 등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도 당연히 출입해야 한다”며 기준의 공정성을 재차 문제 삼았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즉각 반박에 나섰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출입기자 등록 여부는 매체의 취재역량, 보도실적, 공익성 등 객관적 요건으로 판단되고 있다”며 “정치 성향은 고려하지 않는다. 보수 성향 매체도 동일 기준으로 신청하면 된다”고 공지를 통해 강조했다. 또한 “타 언론인에 대한 조롱이나 비방 행위는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일부에서 ‘유튜버 출입’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이 수석은 “해당 매체들은 모두 정식 언론사로 등록돼 있으며, 정상적인 취재 조직과 보도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튜버 출입’이라는 지적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언론의 출입 기준과 유튜브 채널의 언론성, 그리고 취재 현장 내 공정성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향후 대통령실 출입기자 등록 관련 제도 개선과 각 정당의 후속 대응이 정가의 새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안철수#대통령실#뉴스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