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국방산업으로 지역경제 도약”…최영택 단장 이끄는 국방경제추진단 출범
접경지이라는 지정학적 특수성에서 비롯된 희생에 대한 ‘보상’을 둘러싼 논쟁이 강원특별자치도의 국방산업 육성 행보로 집중되고 있다. 강원도가 전국 최초로 ‘국방경제추진단’을 신설하며 미래 전략산업 전환에 본격 나섰다. 국방분야 거점 육성이 지역경제 반전의 모멘텀이 될 수 있을지 정치권과 경제계가 주목한다.
강원특별자치도는 22일 군 관련 인프라와 방위산업 강점을 살려 ‘국방경제추진단’을 출범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추진단은 정책·기업지원과 방위산업 국가기관 유치, 민관협력 확대 등 방산 전반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단장으로는 군 출신 국방산업 전문가인 최영택 단장이 임명됐다.

주요 추진 분야로는 4개 과제가 제시됐다. 도는 국가기관 유치, 강소기업 육성, 조달시장 진출 확대,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에 집중할 방침이다. 동해와 춘천에는 각각 1천400억원 규모 ‘국방과학연구소 해양연구센터’와 500억원 ‘국방기술품질원 방호시험장’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두 시설의 입지는 국방경제 생태계 조성에 핵심이 될 전망이다.
방산기업 지원도 확대된다. 방위사업청 ‘방산혁신기업 100’에는 강원도 내 기업이 심사 중이며, 앞으로 3개 기업 이상이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선정 기업에는 5년간 50억원 지원이 뒤따른다. 또 국방벤처센터를 활용해 현재 43개 기업과 협약을 맺고 기술 개발, 판로 개척 등을 지원 중이며, 참여 기업 수는 80개까지 확대된다. 국방물자 조달시장 진출 기업도 기존 50개에서 150개로 늘린다.
이와 별개로 도는 500억원 규모의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전에 나선다. 해당 클러스터는 방산특화기업, 군, 국방연구기관 등이 집적되는 구조로, 전국 3곳만 추진되고 있다. 도는 지역 산업과 연계한 특화 방산 분야 발굴을 통해 유치 가능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김광래 강원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접경지역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특별한 희생을 강요받았던 강원도에서 국방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경제 발전이라는 특별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강원도 ‘국방경제추진단’의 행보가 접경지 균형 발전, 방산 생태계 확장 등 전국 단위 정책 논의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도는 향후 추가 투자 유치와 기업 지원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