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달탐사까지 포함”…우주청, 한미 우주항공 협력 본격화
한미 간 첨단 과학기술 동맹이 달 착륙, 인공위성, 항법 시스템 등 우주항공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다. 우주항공청은 29일 최종 체결된 한-미 기술번영 양해각서(Technology Prosperity Deal)에 따라, 인공지능(AI)·양자·생명과학과 함께 아르테미스 달 탐사 등 양국 간 우주 협력 이행에 속도를 낼 방침이라고 30일 밝혔다. 양해각서에는 국제 달 탐사 ‘아르테미스 2호’에 한국에서 개발한 큐브위성 참여, 나사(NASA)의 상업적 달 탑재 서비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등 실질적 협력이 전격 포함됐다. 업계는 이번 양해각서를 한미 신기술 경쟁의 ‘우주 포괄 협력’ 분기점으로 주목하고 있다.
우주청에 따르면 이번 합의에는 “달 및 화성 유인 임무 역량 구축 등 연구개발 투자를 양국이 지속한다”는 원칙 아래, 민간 우주 및 과학·항공 분야까지 협력이 확대된다. 특히 내년 상반기 예정된 아르테미스 2호 유인 달 착륙 임무에서, 한국의 우주방사선 측정 큐브위성(K-Radcube)이 나사 탐사선과 함께 발사될 예정이다. 이는 한미 우주 동맹이 기존의 선언적 협력에서 실제 프로젝트 참여까지 진전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이번 양해각서는 나사 상업적 달 탑재 서비스, 민간 주도의 저궤도 우주정거장(LEO)의 개발·운영에까지 한국의 역할을 명확히 했다. 동시에 GPS와 호환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위성 데이터 상호운용성 등 미래 위성기술 발전에도 양국이 공동 대응하는 길을 열었다. 특히 이 같은 다층적 협력 구조는 미국·유럽 등 우주기술 강국과의 연립 전략에서 차별성을 갖는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기존 한미 기술 동맹이 반도체, AI·양자기술 위주였다면, 이번 양해각서로 우주·항법·민간우주산업까지 ‘통합 경쟁력’ 틀을 마련한 것으로 본다. 미국은 이미 상업적 우주분야에서 민간기업의 위상과 정부 주도의 탐사 프로그램을 병행하고 있으며, 유럽·일본도 표준화와 공공–민간 협업을 강화하는 추세다.
다만, 우주항공 분야는 국제 협력 규정, 기술 이전 제한, 위성 데이터 보안 등 복합적 규제 장벽이 남아있다. 우주청은 “아르테미스 2호 한국 큐브위성 탑재 등 빈틈없는 후속 이행에 집중하겠다”며, 실무 부처 및 미국 측과 긴밀한 정책 연계를 지속할 계획이다.
업계는 이번 기술번영 양해각서가 한미 우주동맹 실질화의 기점이 될지, 실제 민간 우주비즈니스 활성화나 산업 일자리 확장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협력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