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장환, 윤석열 전 대통령과 8월 면담”…해병특검, 임성근 구명 로비 정황 수사

허예린 기자
입력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둘러싸고 해병대 순직 사건 특별검사팀과 김장환 목사 측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김장환 극동방송 이사장이 2023년 8월께 윤석열 전 대통령과 직접 만난 정황을 포착했으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구명 로비에 김 목사가 관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특검 발표에 김 목사 측은 ‘불법 표적수사’ ‘명예훼손’을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25일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정례 브리핑에서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회의' 전후로 김장환 목사가 주요 공직자들과 지속적으로 연락을 주고받았다”며 “국방부가 채상병 사건을 재검토하던 8월 전후, 김장환 목사가 윤 전 대통령과 직접 만나고, 임성근 전 사단장과도 통화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검은 이를 두고 김 목사가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에 관여한 구체적 정황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특검팀은 김 목사 측의 ‘불법 표적수사’ 주장에 대해 “법원이 발부한 적법한 압수수색 영장에 따라 김 목사 수사에 착수했다”고 해명했다. 앞서 김 목사 측근인 한기붕 전 극동방송 사장은 특검팀을 명예훼손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 및 고발한 상태다. 김장환 측은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 로비에 관여한 사실이 없다”며, “특검이 김 목사 통화내역과 증거 인멸 정황을 언론에 흘려 명예를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정민영 특검보는 “특검은 김 목사의 통신 내역을 외부에 유출한 사실이 없다”며 “특정인 통신내역이 일부 언론에 보도돼 유감을 표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비방을 멈추고 출석해 진실 규명에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특검팀은 채상병 사건이 발생한 2023년 7월 19일부터 지난해 8월 30일까지 한기붕 전 사장의 통화 녹음 파일이 13개에 불과하다는 포렌식 결과, 그리고 한 전 사장과 임성근 전 사단장 간 주고받은 메시지 자동 삭제, 임 전 사단장 배우자에 보낸 일부 메시지 삭제 등 증거 인멸 정황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일부 언론이 한 전 사장이 극동방송 사무실에서 직원에게 증거인멸을 지시한 듯 보도했으나, 특검은 그런 내용을 언론에 확인해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날 특검과 김장환 목사 측은 접점 없는 입장 차를 드러냈다. 정치권에서는 채상병 사건의 외압‧은폐 의혹 및 관련자 구명 로비 정황을 둘러싼 진실공방이 격화될 것으로 관측한다. 특검팀은 향후 김장환 목사와 임성근 전 사단장 주변 인물까지 조사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장환#윤석열#이명현특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