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전소민, 미라클 작전 속 뜨거운 눈물→390명 구출의 진심 파장
밝은 미소로 시작된 스튜디오의 온기는 곧 전소민이 건넨 뜨거운 고백에 잠시 멈췄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의 리스너로 자리한 전소민, 그리고 정성호와 최예나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시작된 미라클 작전의 긴 서사에 끝내 숨을 멈췄다.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현실, 대한민국이 390명의 삶을 구해낸 진짜 이야기는 세 사람의 감정 깊은 한마디마다 공기처럼 스며들었다.
2021년,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장악으로 순식간에 운명이 바뀐 현지인들. 대한민국 대사관 직원과 교민들은 어렵게 대피했지만, 그 곁을 지킨 아프간 현지 동료들은 남겨진 채 절박한 시간을 견뎌야 했다. 대한민국이 2만 킬로미터가 넘는 길을 마다하지 않으며 ‘미라클 작전’을 시작한 이유다. 한 발 한 발 미지의 공포와 마주한 채, 정부와 공군은 피란민들 속에서 한국과 함께한 390명의 민간인을 찾아냈다. 작전 현장에는 극도의 긴장감이 감돌았다. 카불 공항엔 폭음과 경고음이 수시로 울리며, 아이들의 손을 매만진 부모, 서로를 감싼 관계자들 사이로 희박한 확률의 실낱같은 희망이 번졌다. 누군가는 영어를 이유로, 누군가는 아이들이 자라 떠난 것을 이유로, 서로가 가장 위험에 가까이 다가가길 자원했고, 각자의 용기가 뒤섞인 순간마다 남겨진 이들의 간절함이 전해졌다.

전소민은 “생각보다 기적은 가까이에 있어요”라며 떨리는 목소리로 눈물을 삼켰다. 정성호는 현실이 믿기지 않는다는 듯 고개를 저으며 “영화가 아닌 실화네요”라며 놀라워했고, 최예나는 “이 순간,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세 사람의 시선 끝에 남겨진 것은 기적이라는 단어와, 그 뒤에 선 이들의 서로에게 기대는 따스함이었다.
민간인을 단 한 명도 포기하지 않았던 각오, 그리고 작은 용기의 물결이 모여 완성된 미라클 작전은 절박했던 순간마다 결정적 힘이 됐다. 테러의 공포 아래에서 몸을 내던진 정부 인원과 공군의 굳은 결의와 행동은 무엇보다 값졌다. 인간애와 연대의 의미가 절실하게 다가오는 이야기였다.
감동의 무게가 화면을 타고 전해진 그 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시청자들에게 진짜 기적은 얼마든지 가까이 있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매주 목요일 밤 10시 20분, 세 명의 이야기꾼이 인류애와 진실을 무대로 잊지 못할 기억을 새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