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2035년 온실가스 감축은 실천의 시작”…정청래, 현실적 로드맵 마련 촉구

정하린 기자
입력

기후 위기와 재해 대응, 그리고 지역 의료 불균형 문제를 두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로드맵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다. 정 대표는 9일 서울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날 정청래 대표는 2035년까지 설정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에 대해 "기후 위기가 일상의 재난이 돼 가고 있다"며, "지구를 위해서도, 국가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점을 짚었다. 이어 "오늘 논의할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실천의 시작"이라면서 정책 이행의 구체성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정 대표는 국민 부담과 산업계 파장 등 현실적 변수도 주요하게 짚었다. "동시에 국민의 부담 수준,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 등의 현실적 여건 또한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며, "실현 가능한 감축 로드맵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녹색사회로 가기 위한 여러 해법에 대해 머리를 맞대보자"고 제안했다.

 

한편, 겨울철 재난·의료 정책 강화를 강조한 점도 눈에 띄었다. 정 대표는 "정부는 철저한 사전 대비와 신속한 제설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며, "취약계층 에너지 바우처 지원을 강화하는 등 사각지대 없는 안전망을 구축하고, 의료 정책도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국적인 의료 접근성 문제를 언급하며 "지역 필수·공공 의료의 위기가 누적돼 국민 5명 중 1명이 '응급실 뺑뺑이'를 경험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정 대표는 "지역 간 의사 인력 불균형을 해소하고 응급실 뺑뺑이를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국민의 의료 접근성을 높일 구체적 해법이 제시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실천 가능성, 그리고 민생 의료 정책을 두고도 입장차를 드러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환경과 산업, 복지 정책의 조화가 관건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정부와 정치권은 향후 구체적 감축 로드맵 마련, 겨울철 재난 대응 체계 보완, 의료 불균형 해소 방안 등을 두고 본격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정하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청래#온실가스감축#의료불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