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현, 북극성 충격 대사”…中 분노 여론 폭발→브랜드 광고 내리기까지 번지다
따스한 긴장감이 감돌던 ‘북극성’ 속에서 전지현이 내뱉은 한마디가 아시아 전역을 흔들었다. 강렬함으로 점철된 드라마 한 장면이 국경을 넘어 파장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배우 전지현이 연기한 유엔 대사 출신의 대통령 후보 서문주의 대사는, 의도치 않게 중화권 시청자들 사이 분노의 불씨가 돼버렸다.
문제의 대사는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요. 핵폭탄이 접경지대에 떨어질 수도 있는데”라는 대목이다. 이 발언이 알려진 직후부터 중화권 매체들은 해당 장면을 집중 조명했다. 곧이어 중국 네티즌들은 ‘북극성’이 중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며 비난을 쏟아냈고, 곧 출연 배우 전지현에 대한 성토도 이어졌다.

대사 논란은 드라마 내 세트와 색채까지 확대됐다. 중국 다롄으로 소개된 도시 풍경이 어두운 분위기로 연출됐다며 조롱을 받았다. 더불어 붉은 카펫에 별이 그려진 장면을 중국 국기를 연상하게 했다는 주장이 SNS를 타고 널리 퍼졌다. 일각에서는 촬영 장소가 다롄이 아닌 홍콩이라고 지적하며 제작진을 향한 불만을 추가로 제기했다.
비판은 현실 세계의 브랜드로까지 연결됐다. 전지현이 브랜드 광고 모델로 등장한 기업들에 불매운동이 퍼졌다. 일각의 거센 항의에 일부 브랜드는 전지현이 등장한 광고 이미지를 내리는 등 급격한 조치에 나섰다. 웨이보 등 중국 SNS에서는 한한령 강화를 주장하는 여론도 대두돼 논쟁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시청자들은 강한 황당함을 표했다. “드라마는 드라마로 봐야 한다”, “불법 경로로 시청하면서 시비를 거는 것 아니냐”며 차가운 반응이 이어졌다. 실제로 디즈니 플러스는 중국 본토에서 정식으로 서비스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 네티즌들은 다양한 우회 경로로 ‘북극성’을 시청해온 것으로 파악됐다.
전지현의 한마디에서 촉발된 논란은 한국과 중국,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며 쉽게 가라앉지 않는 듯하다. 현지와 국내의 반응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가운데, ‘북극성’은 여전히 글로벌 OTT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