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리튬배터리 화재 막는다”…정부, 재난대응훈련 첫 시행
리튬배터리 화재 등 연구실 내 신규 위험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와 현장기관이 처음으로 합동 재난대응훈련에 나섰다. 최근 첨단 실험 부품의 빈번한 사용으로 복합재난 위험이 확대되는 가운데, 연구현장의 안전 체계 고도화가 산업계 패러다임에 중요한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훈련이 R&D 혁신 경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해석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주요 연구기관에서 ‘2025년 연구실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처음 실시했다. 이번 훈련에는 소방, 경찰,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유관기관이 참여했으며, 배경훈 부총리가 중앙사고수습본부장 역할로 직접 현장을 진두지휘했다. 훈련은 리튬배터리 실험 중 화재가 건물 전체는 물론 인근 고압가스 저장소로까지 확산될 위기를 가정해 진행됐다. 연구실 재난이 올해 처음 사회재난에 포함됨에 따라,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종합적 재난관리 체계 구축의 일환이다.

핵심은 리튬배터리 화재의 ‘열 폭주’ 현상 및 고압가스 유해물질 확산 등, 첨단 부품이 뒤얽힌 연구실 단위 복합위험에 맞춘 실전 훈련이다. 기존 일반 화재 대비 열적, 화학적 확산 속도가 높다는 리튬배터리 특성에 따라 소방, 경찰, 보건 등 1차 대응기관의 협업 체계와 현장 안전 매뉴얼을 집중 검증했다. KAIST 안전팀의 화재 상시 모니터링, 유해인자 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위험물 파악, 배터리 관리 매뉴얼 적용 등 평소 안전관리 체계도 총동원했다.
시장·산업 측면에서는, 혁신 소재와 배터리를 활용한 미래기술 연구가 활발한 만큼, 이번 훈련에서 체계화된 재난대응이 산업 현장 전반으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실제로 정부와 민간, 유관기관이 참여한 2차 피해 차단(고압가스 등) 모듈 훈련은 반도체·배터리 등 타 고위험 분야로의 확장성도 시사한다.
글로벌 주요국에서도 첨단 연구 현장에 특화된 재난 시나리오 도입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시설은 AI기반 실시간 위험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유럽과 일본 주요 대학에서도 실습매뉴얼을 정교화하는 등 실질적 대응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
관련 정책 측면에선, 최근 관련법상 연구실 사고가 ‘사회재난’에 공식 포함되고, PS-LTE(재난안전통신망)와 위기경보 체계 고도화 등 조직적 개선이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법, 연구실안전환경조성법 등과 연계된 범정부 대응시스템도 확립됐다.
전문가들은 “첨단 연구실은 실험실 안전과 기술혁신의 균형이 핵심 경쟁력이 되는 시대”라며, “재난대응 훈련의 정례화와 국제 수준 안전프레임 내재화가 본격적인 산업전환의 전제 조건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현장과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