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해제 방해 의혹에 정면 대응”…우원식 국회의장, 내란특검 참고인 직접 출석
비상계엄 해제 방해 의혹을 둘러싸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내란 혐의 수사를 진행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에 직접 출석해 조사받기로 하면서 정치권과 수사 당국이 다시 격돌했다. 국회 표결 과정에 개입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내란 관련 진상 규명에 야권과 여권 모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치권과 법조계에 따르면 8월 7일 우원식 국회의장은 내란 및 외환 혐의 수사를 담당하고 있는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특검팀은 우 의장을 상대로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의결까지 약 155분 동안 국회에서 벌어진 일련의 상황을 집중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다.

특검은 특히 비상계엄 해제 과정에서 국민의힘 지도부 차원의 조직적인 국회 표결 방해 의혹에 대해 조사에 나선다. 당시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비상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국회와 여의도 당사로 여러 차례 번복 공지해 다수 국민의힘 의원이 표결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해제 요구 결의안 의결 투표에는 108명 중 90명이 불참한 채 190명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약 1시간 후 추 전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과 통화한 사실도 확인했으며, 이러한 정황을 토대로 지시·공모 가능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또한 특검팀은 우원식 의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당시 경찰이 의원 및 보좌진의 국회 진입을 어떻게 통제했는지, 무장 특수전사령부 군인들이 헬기와 차량을 이용해 국회로 진입한 경위, 계엄군이 시도한 본회의장 진입·전기 차단과 같은 물리적 봉쇄 행위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예정이다. 관련 수사는 향후 추경호 전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 등에 대한 직접 소환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졌다.
정치권에서는 우원식 의장의 특검 직접 출석 방침을 놓고 입장차가 극명하다. 우 의장은 이날 공보수석실을 통한 메시지에서 “특검의 사명과 역할을 지지·존중하고 협력하는 의미에서 직접 출석하기로 했다”며 적극적인 협조 의지를 드러냈다. 이어 “모든 피의자와 참고인, 관련 재판의 증인 누구나 특검의 요청에 협력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회의장은 무장 계엄군에게 침탈당한 피해 기관의 대표이며, 국민의 뜻에 따라 비상계엄을 해제시킨 주체로서 그 진실을 규명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여야는 계엄 선포 및 해제 과정에서 정치적 책임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는 표결 방해 의혹과 군의 국회 진입에 대한 수사가 “정치적 의도에 따른 겨냥 아니냐”는 반발도 나오고 있다. 반면 야권은 “민주 헌정질서 수호와 진상 규명은 필수”라며 강경론을 지속하는 분위기다.
정가에서는 내란특검의 향후 조사와 법적 판단이 정국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한다. 계엄 관련 진상 조사와 추후 소환 대상 확정 및 조사 결과에 따라 여당과 야당 모두 정치적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한편 국회는 특검 조사가 본격화되면서 계엄 해제 결의안 의결 당시의 책임 소재, 군·경찰의 국회 봉쇄 의혹 등 핵심 쟁점에서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