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특검 출석 요구 재통보”…조은석 특검팀, 내란·외환 의혹 규명 압박
내란·외환 혐의를 둘러싸고 조은석 특별검사팀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검팀의 1차 피의자 출석 요구에 불응하자, 특검은 오는 9월 30일 오전 10시로 출석을 다시 요구하며 정치권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역시 13시간 조사를 받은 사실이 알려지며, 계엄 선포 당시 주요 인물들의 행적과 진술을 둘러싼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박지영 특검보는 25일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은 어제 특검의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며 9월 30일 오전 10시에 출석하라는 2차 요구서를 교도관을 통해 직접 전달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평양 무인기 투입’ 등 외환 혐의 피의자로 소환된다. 박 특검보는 “특검 측에 방문조사 요청이나 관련 의견 전달은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변호인 선임계 역시 공식적으로 접수되지 않아 특검팀은 소환 방침을 유지했다.

특검팀은 전날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을 피의자로 조사하면서 계엄 국무회의, 법무부 간부회의, ‘삼청동 안가 회동’ 등 12·3 비상계엄 전후 상황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특히 박 전 장관이 계엄 선포 후 임세진 당시 검찰과장, 김주현 당시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등과의 통화기록이 도마에 올랐다. 이에 대해 박 전 장관은 “계엄 해제 촉구 등 원론적 대응 방안 논의였고, 불법 지시는 없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조사를 둘러싼 절차와 논란도 이어졌다. 박 전 장관은 조사 조서 내용을 두고 일부 날인을 거부한 사실이 전해지자, “날인 거부가 아닌 영상 녹화가 있으니 질문·답변이 녹취된 녹취서를 조서로 갈음해달라 요청했다”는 입장을 냈다. 특검도 이를 수용해 박 전 장관 퇴실 과정에 추가 논란은 없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은 내란·외환 혐의와 관련해 특검 조사 강행과 윤 전 대통령의 출석 거부가 맞물리며 공방이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야권은 “책임 있는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며 특검 방침을 지지했고, 일부 여권 인사들은 “정치적 무리수”라며 수사 방향에 의문을 제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2차 소환 일정이 임박한 가운데, 실제 출석 여부와 특검팀의 추가 조사 방침이 정국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조은석 특검팀은 비상계엄 전후 행적 및 통화 내역 등 사실관계 확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가에서는 특검 출석 여부가 향후 내란·외환 혐의 규명과 관련 입법·정치 지형에 근본적 변화를 끼칠지 주목한다.
정치권은 이번 내란특검을 둘러싼 갈등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