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전공의 수련 연속성 논의”…정부·의료계, 복귀 방안 협의 본격화
자동차

“전공의 수련 연속성 논의”…정부·의료계, 복귀 방안 협의 본격화

이예림 기자
입력

전공의 복귀와 수련의 연속성을 놓고 정부와 의료계가 첫 공식 협상 테이블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와 의료계가 함께 하는 수련협의체가 25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1차 회의를 개최하며, 전공의 복귀와 수련 환경 개선, 법적 부담 완화 등 주요 현안을 놓고 실질적 소통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는 정부 측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포함한 실무진, 의료계 대표로 유희철 수련환경평가위원장과 김원섭 대한수련병원협의회장,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 등이 참여했다.

 

수련협의체는 전공의 복귀와 수련 연속성 보장을 핵심 의제로 삼아 협의를 시작했다. 특히, 입영 대기 혹은 이미 군 복무에 들어간 전공의들의 수련 과정이 끊기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의료계에서는 복귀 이후 기존 수련병원으로의 복귀, 수련 과정 불이익 최소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합리적 대안 마련을 강조했다.

이번 기구 구성은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과 관련 제도 재검토 요구, 의료 사고 법적 책임 부담 완화 등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제시한 '3대 대정부 요구안'에 따른 대응이다. 수련협의체는 지금까지 일방적 통보에 따라 진행되던 정책 논의에서 벗어나, 현장 전문가와 정책 결정자가 한자리에 모여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구조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료계 변화의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전공의 수련 연속성 보장에 대한 논의는 유사시 의료인력의 유입 단절, 병원 진료공백 등 IT·바이오 산업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까지 미친다. 특히, 전공의가 첨단 진단과 바이오 헬스케어 현장 기술 전수의 핵심인 만큼 수련 중단은 디지털 의료 생태계 전반의 혁신 정체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군 복무 등 불가피한 사유로 수련이 중단된 경우 복귀 절차·인증 기준이 명확하게 관리된다. 하지만 국내는 관련 지침이 미흡해, 보다 체계적인 제도 정비 요구가 크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제도적 논의가 속도를 내지 못할 경우, 첨단 의료기기 운용, 정밀의료 데이터 연계 등 IT·바이오 융합 산업의 현장 접목에도 간접적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봤다. 의료계는 복귀와 수련 연속성, 수련 환경 전반의 질적 개선이 동반돼야 의료공백 최소화와 미래 의료기술 인재 양성이 병행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복지부는 "수련 및 진료환경 혁신 논의에도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 결과가 의료인력 양성 체계 개선 및 헬스케어 산업 미래 경쟁력 확보의 전환점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전공의#수련협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