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고용, 기대 이하 증가”…미국 연준, 금리 인하 신호에 시장 주목
현지시각 7일, 미국(USA) 노동부가 7월 비농업 고용이 7만3천명 증가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과 전문가의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로, 최근 2개월 일자리 증가 폭도 하향 조정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고용지표 악화는 연내 금리 인하 기대를 한층 부추기고 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신규 일자리 증가 수는 당초 기대치에 크게 못 미쳤으며, 5월과 6월 고용도 각각 수정돼 합산 25만8천명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미국 경제 회복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연준 이사 리사 쿡은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좌담회에서 "통계치 조정이 미국 경제의 전환점을 시사한다"고 언급하면서,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쿡 이사는 "이것은 순손실로 GDP에는 반영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연준 내 매파로 분류된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의 사임 소식 역시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Fed 내 정책결정자가 교체되면서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실현 가능성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도 CNBC 인터뷰에서 "고용 악화를 고려해 금리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연내 1~2회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시장에서는 이번 고용지표 발표가 단순한 경기둔화 신호를 넘어 정책 변곡점임을 시사한다고 평가한다. 주요 외신들도 미국 경제의 회복 동력에 대한 우려, 그리고 9월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기준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전망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향후 추가 고용자료와 인플레이션, 소비 등 경제지표가 연준의 정책 결정에 중대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가 가계와 기업의 부담을 일부 완화하겠지만, 긴축과 완화 사이의 균형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분석한다. 국제사회는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