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공휴일 지정 논의”…10월 10일 포함 최대 10일 쉬나
10월 연휴 일정에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가 논의되면서, 올해 남은 공휴일과 연휴 제도에 시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회 각층에서는 연휴 확대가 일·생활 균형 및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논쟁이 이어진다.
2025년 8월 5일 기준 올해 남은 법정 공휴일은 총 8일이며, 가장 가까운 공휴일은 8월 15일 광복절이다. 광복절은 금요일로, 대부분 직장인에게 사흘간 연휴가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체공휴일은 없지만 연차 등 휴가제도를 활용하면 최장 4일까지 쉴 수 있다.

특히 10월에는 개천절(3일), 추석 연휴(5~7일), 한글날(9일)까지 명절과 국경일이 연달아 이어진다. 대체공휴일 적용으로 8일도 공휴일이 되며, 정부가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3일부터 12일까지 최장 10일간의 연휴가 생긴다. 임시공휴일 지정이 현실화되면 평년 대비 더 긴 휴식 기간이 보장돼, 관련 업계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현행 공휴일 제도에서는 7월과 9월에는 법정 공휴일이 없다. 이에 따라, 연휴가 몰린 10월에 대한 제도 보완 및 논의도 활발하다. 최근 정치권에서는 제헌절(7월 17일)의 공휴일 재지정 문제도 거론됐다. 7월 17일 이재명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제헌절을 국가 기념일로 특별히 기릴 필요가 있다”며 휴일 지정 검토를 주문했다.
임시공휴일 지정 및 제헌절 공휴일화 논의는 단순한 휴식일 확장을 넘어, 국민 생활 영향과 사회적 파장도 크다는 평가다. 노동계와 시민사회는 연휴 확대가 저소득·비정규직 노동자 등의 휴식권 보호로 실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일각에서는 경제적 손실, 업무 공백 우려도 적지 않아 명확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행정당국은 10월 임시공휴일 지정 필요성, 정책 효과, 국민 여론 등을 종합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아직 구체적 방침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포털에서는 “역대 최장 연휴 기대”, “공휴일 확대 실질 수혜자에 주목해야 한다” 등 다양한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연휴 논의는 향후 공휴일 지정 및 대체공휴일 제도 개선을 호출할 것으로 보인다. 제도의 취지와 실효성을 놓고 사회적 논의가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