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 최악 방지 대격돌”…김문수·장동혁, 당심 겨냥 막판 차별화
국민의힘 당권을 놓고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파 후보들인 김문수·장동혁 후보가 결선 투표를 앞두고 명확한 전략적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김 후보가 통합론을, 장 후보가 강성 결집을 각각 앞세워 표심 잡기에 나서면서 막판 주도권 싸움이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김문수 후보는 22일 전당대회 직후 기자회견에서 “탄핵 찬성 세력과 만나 대화하고 토론할 것”이라며, 1차 경선 탈락자 안철수·조경태 의원 등에 대해 “우리 당에 필요한 분들”이라 말해 구애의 손짓을 보였다. 그는 실제로 안 후보와 오찬을, 조 후보와는 전화 통화를 진행하며 당내 ‘대통합’ 구호에 힘을 실었다. 이 과정은 찬탄(탄핵 찬성)파 및 친한(친한동훈)계 표심을 흡수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동훈 전 대표 역시 “민주주의는 최악을 피하기 위한 최선의 제도”라며 “결선 투표에 적극적으로 임해 국민의힘이 최악을 피하기 바란다”고 밝혀, 사실상 김 후보 쪽에 무게를 싣는 발언을 남겼다. 김 후보 측은 친한계 및 외연 확장 행보가 국민여론조사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내다봤다.
반면 장동혁 후보는 ‘내부총질 인사 정리’를 내세우며 더욱 강경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는 “당을 위험에 빠뜨리는 분이 전대 이후에도 그 입장을 고수한다면 함께 갈 수 없다”고 발언, 무조건적 통합론에 선을 그으며 찬탄파 및 친한계와의 차별화를 강조했다. 장 후보는 우파 국민의 ‘단일대오’를 역설하며, 결선 구도가 반탄 후보들로 압축된 만큼 강성 당심 결집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정치권에선 장 후보의 강경 기조가 당 조직의 표심을 결집시켜 낮은 투표율 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대로 높은 투표율이 나타날 경우, 김 후보의 통합 행보에 호응하는 외연 확장형 표심이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성일종 의원 등 중진이 김 후보의 용단을 당부하며 세대교체론을 재차 강조했다. 계파 구도가 얽힌 가운데 결선 투표 결과에 따라 당의 리더십 재편과 향후 정국 주도권 경쟁에 판도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국민의힘은 24일부터 이틀간 책임당원 투표와 국민여론조사를 병행하고, 26일 최종적인 당 대표 선출 절차에 돌입한다. 당 내 불안정한 계파 구도와 함께, 결선 투표율이 최종 승패에 상당한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