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간시설 취약지대”…허종식, 5년간 한전·전력거래소 해킹 시도 340건 경고
에너지 안보의 최전선에 위치한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가 최근 5년간 해킹 시도의 집중 타깃이 된 것으로 드러나 정치권이 긴장감을 드러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2025년 9월 26일 한전과 전력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두 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는 총 341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연도별 해킹 시도 건수는 2021년 112건(한전 76건, 전력거래소 36건)으로 정점을 찍었으며, 2022년에는 98건(한전 68건, 거래소 30건), 2023년 57건(한전 32건, 거래소 25건), 지난해 45건(한전 32건, 거래소 13건), 올해 8월까지 29건(한전 22건, 거래소 7건) 등으로 집계됐다. 총 누적 기준으로 한전이 230건, 거래소가 111건의 공격에 노출됐다.

해킹 유형별로는 ‘악성코드’가 전체의 54.3%(185건)로 가장 많았고, ‘비정상 접속 시도’가 19.4%(66건), ‘서비스 거부’가 11.7%(40건), ‘기타’ 7.6%(26건), ‘홈페이지 공격’이 7.0%(24건)로 뒤를 이었다. 정보통신 인프라의 허점을 노린 악성코드가 꾸준히 집중된 점이 두드러진다.
허종식 의원은 “전력망은 단 한 번의 공격을 받더라도 국가 전체가 흔들릴 수 있는 핵심 기반”이라며, “민간을 넘어 국가기간시설에 대한 해킹 위협이 큰 만큼 정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철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야권을 중심으로 이번 해킹 시도가 국가 안보의 사각지대로 부각됐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여야는 에너지 기반시설의 사이버 안전망 강화를 위한 근본 대책마련을 놓고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전력 등 국가기반시설이 해킹 공격의 중심에 있다는 현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부 및 관계 부처의 대책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역시 향후 관련 법률 및 예산 심의 과정에서 이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