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모델 완전 개방 선언”…오픈AI, 오픈 웨이트 전략 전환에 업계 주목
국제

“AI 모델 완전 개방 선언”…오픈AI, 오픈 웨이트 전략 전환에 업계 주목

오태희 기자
입력

현지 시각 5일, 미국(USA) 인공지능 스타트업 오픈AI(OpenAI)가 고성능 AI 언어 모델 ‘GPT-oss-120b’와 ‘GPT-oss-20b’의 오픈 웨이트(open-weight) 버전을 전격 공개했다. 이번 조치는 오픈소스 흐름을 이끌고 있는 중국(China) 딥시크(Deepseek) 등 경쟁사의 압박 속에서, AI 업계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

 

오픈AI가 공개한 두 모델은 축적된 AI 매개변수(웨이트, weights)를 일반에 처음으로 개방한 사례로 꼽힌다. 모델 학습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되, AI 성능 핵심인 매개변수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허깅페이스(HuggingFace) 플랫폼에 배포할 예정이다. 오픈AI의 설립자 샘 올트먼(Sam Altman)은 최근 업계 내 오픈 전략 강화를 시사한 바 있다.

오픈AI, ‘GPT-oss-120b’·‘20b’ 오픈 웨이트 모델 공개…딥시크 영향
오픈AI, ‘GPT-oss-120b’·‘20b’ 오픈 웨이트 모델 공개…딥시크 영향

기존 오픈AI는 2019년 GPT-2 이후 주요 모델을 비공개로 운용해왔다. 그러나 올해 초 딥시크가 자체 개발한 모델 ‘R1’을 시작으로 글로벌 AI 오픈모델 경쟁이 가속화되자, 업계의 방향성에 대한 재논의가 촉발됐다. 외신 CNN은 “메타(Meta)의 라마(Llama) 전략에 이어 오픈AI까지 오픈모델 대열에 합류했다”며 “AI 패러다임 전환의 한 분기점”이라고 평했다.

 

해당 모델들은 상용화 전제의 대형 AI임에도, GPU 한대(80GB) 또는 일반 노트북(16GB 메모리)에서도 구동 가능한 경량화 구조가 특징이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개발자와 중소기업의 비용·기술 장벽이 획기적으로 낮아질 것”이라며 오픈모델 시장의 대중화에 주목했다. 중국 AI 업계 역시 즉각 환영 입장을 밝혔고, 빅테크 기업들은 기술 협력 및 디커플링(Re-shoring) 논의를 촉진할 전망이다.

 

반면 일부 전문가는 데이터셋 폐쇄, 각국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 등 후속 변수도 지적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AI 개방 정책이 증시 변동성과 가격에 단기적 영향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AI 산업에서 오픈 웨이트 방식이 일반화될지, 폐쇄형 모델 위주의 기업 전략이 회귀할지에 대해 국제사회와 기술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핵심기술의 저변 확대와 표준 경쟁 시대의 서막”이라며, 올해 하반기 AI 관련 외교·산업 지형 변화가 가시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오픈ai#gpt-oss-120b#딥시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