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가 도시를 물들인다”…조아용 페스티벌로 다시 쓰는 용인의 가을
맑은 가을날, 캐릭터를 따라 길을 걷는 사람들이 늘었다. 축제란 한때 번잡함의 상징이었지만, 요즘엔 주민들이 도시에 애정을 더하는 일상이 됐다. 올 9월,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조아용 페스티벌’이 그 변화를 상징한다.
올해로 30번째를 맞는 용인시민의 날 축제는 전 세대가 어울리는 시민 잔치로 기획됐다. 퍼레이드 구간을 따라 조아용을 비롯한 각양각색 캐릭터들이 유쾌한 노래와 퍼포먼스로 도심 전체를 활짝 물들인다. 아이들은 눈에 띄는 코스튬과 퍼레이드 행렬에 두 손을 흔들고, 청년들 역시 셀카와 영상을 남기며 기억을 쌓는다. 조아용 창작 뮤지컬 무대에는 환호가 이어진다.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캐릭터 산업이 가족에서 청년, 중장년까지 팬덤을 확장하며, 지역축제 위치도 단순 전시에서 전 세대를 아우르는 일상형 체험으로 진화했다. ‘조아용 in 필드’ 같은 참여형 프로그램과 코스프레 경연, 버스킹 공연, OX 퀴즈 이벤트는 세대별 취향 저격을 노린다. 먹거리페스타와 식품산업박람회, 용인 사이버과학축제 등 연계행사가 한자리에 모이며, 시민 모두가 자연스럽게 어울릴 장이 마련된다.
현장에서는 축제의 본질이 주민 일상에 있다는 점도 실감된다. 한 시민은 “아이와 함께 나와 하루 종일 캐릭터 따라 웃다 보니, 오랜 이웃들과도 금방 마음이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커뮤니티 반응도 “이젠 용인 축제가 기다려진다”, “조아용 보면 괜히 기분이 좋아진다”며 서로 긍정의 에너지를 나누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축제가 “지역문화 자부심과 현대형 공동체성 실현에 닿아 있다”고 해석한다. 단순한 도시 이벤트를 넘어, 서로를 있는 그대로 축하하는 자리가 된다는 설명이다. 축제장 곳곳에서 만나는 오색 빛의 캐릭터, 가족과 친구, 지역 청년의 환한 표정엔 느슨하지만 확실한 유대가 깃든다.
작고 사소한 축제의 선택이지만, 그 안에서 우리의 삶과 지역이 조금 더 따뜻해지고 있다. 대한민국 조아용 페스티벌은 어느새 용인의 일상이 돼, 모두의 가을을 물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