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구정 재건축, 이주비 규제 완화 주목”…서울시·현대건설, 소송 변수 속 수주전 격화
압구정 재건축 수주전이 역대 최대 규모와 복잡한 변수 속에 긴장감을 더하고 있다. 최근 이주비 대출 규제와 서울시의 정책 완화 움직임, 그리고 조합 내 대형 토지 지분 소송이 맞물리면서, 건설사들의 자금력과 전략이 수주전 성패의 핵심 요인으로 부상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경쟁이 강남권 정비사업의 향방은 물론 대형 건설사,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한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3구역에서 조합과 서울시, 현대건설 등 주요 주체들은 약 2조6,000억 원 규모 토지 지분을 둘러싼 법적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 정비업계는 이번 소송의 배경으로 1970년대 대규모 개발 당시 있었던 등기상 행정 오류를 꼽는다. 조합은 지분 소유권 이전 소송에 착수했으며, 서울시는 내년까지 등기 정리를 마쳐 2030년 관리처분인가 일정에는 차질이 없다는 입장이다. 현대건설 또한 해당 이슈와 별개로 수주전 참여 방침을 유지하며 조합과의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압구정3구역 수주에서 이주비 대출 규제가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부에 이주비 대출 한도(6억 원) 상향을 공식 건의한 만큼, 건설사들의 금융 지원 여력이 조합원 선택에 직접적인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형 건설사는 자금 조달에 상대적 강점을 지니는 반면, 중견사는 추가 이주비 지원이 부담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업계에서는 압구정3구역 토지 소송이 시공사 선정과 별도로 진행되는 만큼, 현대건설이 ‘지분 양도’와 ‘수주권 확보’를 놓고 고도의 전략적 협상을 시도할 수 있다고 바라본다. 삼성물산이 인접 구역(2구역) 입찰을 포기한 사례, 조합 내 토지 지분 분쟁 등 복합적 변수가 중첩되며 올해 하반기 도시정비 최대 빅매치로 평가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조합원 이주비 대출 규제 완화, 소송의 진행 방향, 대형 건설사의 자본력 및 브랜드 마케팅이 압구정 재건축 판도를 가를 주요 변수로 꼽는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지분 정리와 관리처분인가 추진을 예고했으며, 시공사 선정 역시 연내 혹은 내년 상반기 중으로 가닥이 잡힐 전망이다.
향후 정책 방향과 재건축 시장 분위기는 조합원 이주비 지원, 지분 소송 결과, 주요 건설사의 자금 동원 능력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내년 예정된 지분 정리와 시공사 선정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