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 띄워 도심 실증 돌입”…K-UAM, 교통 시스템 검증 본격화
차세대 도심항공교통(K-UAM)이 실제 도심 환경에서 운용 가능한지 검증하는 실증 사업이 10월 22일부터 인천 아라뱃길 일대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도심 실증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단계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이뤄진 1단계 개활지 시험과 달리, 복잡한 도심에서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요 시험 항목은 기존 항공 교통과의 조화, 전파 간섭, 실제 교통관리 등 다양한 기술 변수가 포함된다.

실증에는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현대자동차, KT, 현대건설 등이 참여한 ‘K-UAM 원팀’과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으로 구성된 ‘K-UAM 드림팀’이 함께한다. 이들은 도심항공교통법에 따라 지정된 첫 실증사업자다.
이번 사업에서는 실제 UAM 기체 대신 헬리콥터를 활용해 교통관리시스템, 버티포트 운영시스템, 5G 상공 통신망 등 핵심 운용 체계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공중 충돌 방지, 지상 이동, 통신 연결성 등 전체 인프라의 도심 내 실효성을 실제 환경에서 확인 중이다.
아울러 각 컨소시엄은 통신 장애, GPS 오류 등 예측 불가 비정상 상황을 가정한 시뮬레이션도 병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김홍목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겉모습은 헬리콥터지만, 대한민국 UAM 생태계를 구축할 핵심 운용 체계의 역사가 시작됐다”며 “실증을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절대 안전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K-UAM 도입은 향후 국내 교통체계 전반의 변화를 예고하는 한편, 상용화 과정에서 제도적·기술적 보완 과제도 남겨두고 있다.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도심 항공교통 표준과 안전 기준 정립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경찰과 국토교통부 등 관련 당국은 향후 실증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단계별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K-UAM의 성공적 도입과 시민 신뢰 확보를 위해 좀 더 구체화된 정책과 제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