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책임 논란 확산”…MBK파트너스, 법정관리 갈등→수사 촉구 국면 전환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사태를 둘러싼 책임공방이 한국 사회의 자본시장 신뢰 위기로 번지고 있다. 7일,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와 피해자 단체들이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에 대한 신속한 소환과 출국금지를 촉구하며 사태의 심각성을 고조시켰다. 단식 7일째를 맞은 안수용 지부장은 채권발행과 회생신청의 시의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는 투자자와 소상공인 모두를 기만하는 중대한 경제 범죄라고 비판했다.
사건의 중심에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2015년 홈플러스 인수가 자리한다. 당시 대규모 차입매수를 밀어붙인 후, 매각 실패의 타격을 피해자들에게 전가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최근 신용등급 하락이 예견됐음에도 829억 원 규모의 단기채를 발행했고, 나흘 만에 돌연 법정관리 회생을 신청한 점이 논란을 키웠다. 피해자 비상대책위 역시 회생 직전 유동화전단채 증가를 지적하며, 사기적 행위로 인한 전면적 수사를 촉구했다. 참여자들은 단순한 기업 부실의 차원을 넘어 국내 사모펀드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해당 사안이 시장 신뢰에 미치는 충격을 우려하고 있다.

피해자 단체는 김병주 회장의 법적 책임 규명과 더불어, 대규모 사모펀드의 약탈적 경영을 막기 위한 제도적 개혁을 강하게 요구했다. 이번 홈플러스 사태는 한 기업의 경영 문제를 넘어 자본시장의 투명성과 경영 책임, 제도 혁신 논의로 번져가고 있다. 마트노조는 8일 금융감독원 앞에서 후속 기자회견을 예고하며 공론장 확대를 예고했다. 시장의 파장은 앞으로 기업 인수·합병과 부실관리, 투자자 보호 제도의 전면적인 재검토로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