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전이 우주산업 성장엔진·전략거점”…정치권,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 목소리 확산

한지성 기자
입력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신설을 놓고 정치권과 대전시가 한목소리를 냈다. 14일 국회에서는 대전시와 황정아·이주희 국회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등 지역 정치권이 공동 주최한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첨예한 정책 현안을 두고 산·학·연·정관계가 맞붙으면서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거점 마련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했다.

 

정책 토론회에서는 양준석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우주항공청의 연구개발 기능 제고를 위한 입지 제안’을 주제로 첫 발제에 나섰다. 이어 연구개발본부 신설의 정책적 의미, 다부처·다기관 사업 조정 등 조직 신설의 필요성과 거버넌스 개편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고도화된 우주개발 전략과 연구개발 수행 체계 구축,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우주항공 역량 결집이 절실하다는 공감대도 확인됐다.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는 지난해 9월 황정아 의원이 ‘우주항공청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하며 처음 구상된 조직이다. 황정아 의원은 “대한민국 우주개발 역량을 높이는 핵심은 사람과 그들이 협력하는 생태계이고, 대전이 바로 그곳”이라며 “본 행사를 계기로 연구개발본부 설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공감이 확대돼 정부 우주정책 전반에 적극 반영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대전이 우주항공산업 성장엔진이자 전략거점이 되도록 국회, 정부, 그리고 지역의 산학연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며 지역 역량을 한 데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지난 50년간 국가 역량이 집적된 대덕특구가 우주항공산업 혁신의 구심점이 돼야 한다”며 “연구개발본부와 같은 새로운 인프라가 국가 전략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에도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정치권과 대전시는 향후 관련 입법·정책 논의가 탄력받을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과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의 대전 유치까지 포함한 후속 대응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전시#우주항공청#황정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