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시선, 경주로 집결”…이재명, APEC 정상외교 총력전 돌입
자유무역 체제의 미래를 두고 국제 정치와 경제의 격돌이 예고된 가운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이 27일 경주에서 개막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의장국 대통령으로 나서는 이번 회의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주요국 정상들이 대거 방한하며, 연쇄 정상 외교와 역내 협력 의제에 국제 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APEC 정상회의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을 주제로 21개 회원국이 참가했다. 정부는 이날부터 최종고위관리회의(CSOM, 27~28일)를 시작으로 외교·통상 합동각료회의(AMM, 29~30일), 정상회의 본회의(31일~11월 1일) 등 절차를 진행한다. 올해 핵심 성과로 AI 협력, 인구구조 변화 대응 등을 내세운 한국 정부는 각국 실무대표단과 준비상황을 공유하며 참가국과의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APEC이 추진하는 ‘경주 선언’과 AI 협력, 인구구조 변화 관련 결과문서 채택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정상회의 본회의는 31일과 내달 1일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첫 세션에서는 무역·투자 협력 방안이, 두 번째 세션에서는 AI 발전, 인구구조 변화 등 신성장 동력 창출 방안이 논의된다. 정부 주재 공식 만찬과 함께,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는 ‘APEC CEO 서밋’에도 각국 기업인들과 정상들이 대거 참여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CEO 서밋 개막식에 특별 연사로 나설 계획이며,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 등 글로벌 경제계 리더들도 참석한다.
올해 APEC 주간은 정상외교의 '슈퍼위크'로 평가된다. 29일에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으며, 한미 관세협상 타결과 ‘안보 패키지’ 합의 가능성에 양국의 관심이 집중된다. 이어 30일에는 트럼프 대통령 2기 출범 후 첫 미중 정상회담이 개최된다. 미중 정상의 한국 동시 국빈방문은 사상 초유로, 부산 김해공항 공군기지에서 열릴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정부 관계자는 전했다. 11년 만에 방한하는 시진핑 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은 내달 1일 진행된다. 정부는 이를 계기로 한중관계 복원 및 신외교 협력의 물꼬를 트겠다는 입장이다.
국내외의 시선이 쏠린 가운데, 이번 APEC을 둘러싼 정치적 파장도 상당하다. 자유무역 질서와 다자주의 논의가 중첩되는 만큼,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전략 방향이 역내 경제·안보 질서에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국내 정가에서는 “AI, 인구구조 등 신의제가 선언문에 어떻게 반영될지 APEC의 역할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치권과 외교가에선 APEC 경주 선언이 실질 협력의 돌파구를 제시할지, 미국·중국·한국 간 연쇄 정상회담을 계기로 신외교 구도가 형성될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정부 관계자는 “정상 간 대화와 다자간 합의문이 한층 긴밀해질 수 있도록 막판까지 조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국회는 APEC 정상회의 이후 한미·한중 성과를 두고 추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며, 외교 현장의 결과가 향후 지역 안보, 경제 협력 구도에 어떤 파장을 낳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