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65세 상향, 찬성 72%”…여야·세대 넘은 공감대 확산
정년 연장 논의를 둘러싼 공감대가 정치권과 유권자 사이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됐다.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5세로 높이는 방안에 대해 세대와 성향을 뛰어넘은 찬성 여론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 찬성 목소리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정치권 논의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국갤럽이 1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법정 정년 65세 상향에 대해 응답자의 72%가 ‘찬성’이라고 답했다. ‘반대’ 의견은 21%였으며, ‘의견 유보’는 7%로 집계됐다. 연령별, 정치적 성향별, 지역별로 응답자 대다수가 정년 연장에 동의해, 세대와 이념의 벽을 허무는 현상이 나타났다.

앞서 올해 3월에도 같은 조사에서 찬성 79%, 반대 16%의 결과가 기록된 데 이어, 이번 여론조사에서도 긍정 평가가 크게 줄지 않았다. 이는 2013년 법정 정년을 55세에서 60세로 올릴 당시에도 찬성 77%, 반대 18%였던 여론 흐름과 유사하다. 그만큼 법정 정년 연장 논의가 꾸준히 사회 전반의 지지를 받아온 셈이다.
노후 생활 시작 시점 역시 정년 연장 논의와 맞물려 관심을 끈다. 2023년 2월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평균 67세를 노후 시작 시기로 꼽았고, ‘70세’ 37%, ‘65세’ 31%, ‘60세’ 13% 순이었다. 이와 같은 인식 변화가 고용 환경과 복지제도 논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치권도 유권자 다수의 목소리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여야 모두 세대 간 갈등 해소, 노후 소득 보장, 고령사회 대응 등 정책 아젠다로 정년 연장 이슈를 적극 들여다보고 있다. 그러나 재계와 청년층 사이에선 임금피크제·고용 세습 우려와 함께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사회적 합의와 제도 보완이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후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1.5%였다고 한국갤럽이 2025년 11월 14일 밝혔다.
정치권과 사회 각계에서 정년 연장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국회는 관련 입법을 둘러싼 추가 논의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