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AI 경계작전모델, 첨단강군 신호탄”…국방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최우수상 선정
국방 개혁을 둘러싼 변화 요구와 혁신 과제가 재차 부각되는 가운데, 국방부가 7일 서울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2025년 국방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열고 군 인공지능(AI) 경계작전모델을 최우수 혁신사례로 선정했다. 기획관리관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경진대회에는 각 부서가 다양한 혁신 사례를 제출해 치열하게 경합했다.
국방부는 이날 발표를 통해 “육군인공지능센터가 개발한 ‘군 AI 경계작전모델’은 딥러닝 알고리즘과 하이퍼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해 군 작전환경에 특화된 객체 탐지 및 행동 분석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특히 야간이나 악천후 등 열악한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경계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한 점, 병력 감소 등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경계 작전의 신뢰성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아울러, 국방부 보건정책과의 ‘병사 진료비 청구방식 혁신을 통한 진료비 신속 지급체계 구축’과 국군의무사령부 의료종합상황센터의 ‘군-소방이 함께 만드는 생명의 골든타임’ 사업이 우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보건정책과는 “진료비 청구방식을 혁신해 병사들이 적시에 진료비를 지급받는 체계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고, 의료종합상황센터는 군과 소방 간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문제의 AI 경계작전모델 선정에 대해 군 안팎에서는 첨단기술의 도입이 국방 신뢰성과 작전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첨단화 과정에서 정보보안, 실제 적용 효율성 등 후속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방부는 이번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군 AI 경계작전모델 개발’ 등 우수사례를 올해 연말 개최되는 행정안전부 주관 ‘정부혁신 왕중왕전’에 국방부 대표 사례로 제출할 계획이다. 국방 혁신 흐름이 ‘왕중왕전’ 무대에서 어떤 평가를 받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