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군 AI 경계작전모델, 첨단강군 신호탄”…국방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최우수상 선정
정치

“군 AI 경계작전모델, 첨단강군 신호탄”…국방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최우수상 선정

허준호 기자
입력

국방 개혁을 둘러싼 변화 요구와 혁신 과제가 재차 부각되는 가운데, 국방부가 7일 서울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2025년 국방부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열고 군 인공지능(AI) 경계작전모델을 최우수 혁신사례로 선정했다. 기획관리관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경진대회에는 각 부서가 다양한 혁신 사례를 제출해 치열하게 경합했다.

 

국방부는 이날 발표를 통해 “육군인공지능센터가 개발한 ‘군 AI 경계작전모델’은 딥러닝 알고리즘과 하이퍼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해 군 작전환경에 특화된 객체 탐지 및 행동 분석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특히 야간이나 악천후 등 열악한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경계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한 점, 병력 감소 등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경계 작전의 신뢰성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아울러, 국방부 보건정책과의 ‘병사 진료비 청구방식 혁신을 통한 진료비 신속 지급체계 구축’과 국군의무사령부 의료종합상황센터의 ‘군-소방이 함께 만드는 생명의 골든타임’ 사업이 우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보건정책과는 “진료비 청구방식을 혁신해 병사들이 적시에 진료비를 지급받는 체계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고, 의료종합상황센터는 군과 소방 간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문제의 AI 경계작전모델 선정에 대해 군 안팎에서는 첨단기술의 도입이 국방 신뢰성과 작전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첨단화 과정에서 정보보안, 실제 적용 효율성 등 후속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방부는 이번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군 AI 경계작전모델 개발’ 등 우수사례를 올해 연말 개최되는 행정안전부 주관 ‘정부혁신 왕중왕전’에 국방부 대표 사례로 제출할 계획이다. 국방 혁신 흐름이 ‘왕중왕전’ 무대에서 어떤 평가를 받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방부#ai경계작전모델#육군인공지능센터